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말~일제강점기 궁중정재의 전승과 재현

이용수 302

영문명
The transmission and reappearance of Gungjung Jeongjae(Court Dance) for the Period from the End of Joseon to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On the Basis of the items and the Accompanying Music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임미선(Lim Mi Su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3집, 35~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궁중정재는 대한제국기 광무년간까지 왕실 연향의 중요한 공연물로 연행되었다. 그러나 1908년에 관기제도가 폐지되고 1910년 한일병합으로 인하여 궁중정재의 전승이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말에서 대한제국을 거쳐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기간에 궁중정재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논하였다. 정재의 전승과 재현의 관점에서 연행종목과 반주음악의 변화를 살피는 데에 중점을 두고 먼저 대한제국기에 조선말의 정재 전통의 전승 상황을 진단하고, 그런 다음 일제강점기하 이왕직아악부 시기에 이루어진 정재 재현 과정에서 드러나는 변화양상을 다루었다. 특히 광무 5~6년까지 존속했던 궁중정재의 연행이 일제강점기하에 일시적으로 단절되었던 상황과 1923년 순종 50회 탄신 행사와 1930년 영친왕 내외를 위하여 특별 기획으로 마련된 정재감상회 때에 시행된 정재의 재현에 주목하였다. 당시 정재를 재현하게 된 상황과 그 재현과정에 드러나는 변화 그리고 1930년 계사년의 『정재무도홀기』를 참고하여 재현이 이루어진 10개의 종목이 선정된 배경을 논하였다. 조선말~이왕직아악부 기간에 나타난 정재 반주악 및 반주형태의 변화는 매우 명확하게 파악되었다. 정재 반주악에 있어서는 조선후기에 당악과 향악의 구별이 불분명해지면서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에 대한 반주악도 구별 없이 사용되고, 본래 각각의 정재에 수반된 고유한 악곡들의 체계가 무너지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순조대부터 가곡이 정재 반주악으로 쓰이기 시작하고 반주악에 아명이 쓰이는 변화도 있었다. 조선말에 이르러 여민락만이 반주악으로 점차 쓰이지 않은 반면 가곡의 정재 반주악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변화가 나타났다. 조선말~대한제국기에 정재 반주음악으로 보허자령·여민락령·향당교주 등이 쓰였고 정재 반주음악은 대부분 원무곡으로 별칭되었다. 원무곡 가운데 정재 반주악으로 가장 많이 쓰인 것은 향당교주와 보허자령이었다. 1930년 이왕직아악부에서 정재 10종목을 재현할 때에 사용한 반주악은 이전과 뚜렷한 차이를 드러낸다. 함녕지곡·봉화음·만년장환지곡(가곡) 등이 정재 반주악으로 쓰인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왕직아악부 시기에는 정재 반주악의 변화와 더불어 그 악곡을 연주하던 악대의 편성도 크게 변하였다. 광무 5~6년까지 500년이상 유지되었던 관현합주 형태의 반주음악이 삼현육각 편성에 의한 관악합주 형태로 바뀐 것이다.

영문 초록

Gungjung Jeongjae (the court banquet dance) was an important performance that was conducted in a court banquet under the auspices of the royal family. The main cause in the change of Jeongjae was the difficult circumstances in the transmission due to the collapse of Joseon Dynasty. In this presentation, I intend to discuss how Gungjung Jeongjae had changed for the period from the end of Joseon, to Daehanjeguk and Yiwangjik Aakbu. First, I will examine the conditions of transmission by comparing those events of Jeongjae conducted in the end of Joseon and Daehanjeguk period, then I will discuss the aspects of the transition in the course of reproducing Jeongjae during the time of Yiwangjik Aakbu. The events of Jeongjae and the transition of the accompanying music during above mentioned period is as below. Other subjects such as the formation, dance costumes, motions, placement and the number of the dancers of Jeongjae could be discussed from many perspectives. However, I have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transition as well as the events of Jeongjae in jinyeon and jinchan in each period. In addition, I have discussed the fact that Jeongjae in national banquets that had existed until the Gwangmu year 5 and 6, was not performed completely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studying and referring to 『Jeongjae Mudo Holgi』 of Gyesa year, I could presume the reason why only the 10 events were chosen for the reproduction. I could clearly figure out the transition in the accompanying music and the orchestration from the end of Joseon to Yiwangjik Aakbu period. In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it was already difficult to distinguish Hyangak from Dangak by the end of Joseon, just as the accompanying music of Hyangak Jeongjae from Dangak Jeongjae,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original system of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that resulted in the fail. Also, Gagok began to be used in Jeongjae music from Sunjo s ruling era and had another name for it. By the end of Joseon, Yeonminlakman and Yeonminlakyeong were disused in the accompanying music, whereas Gagok changed into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from the end of Joseon to Daehanjeguk period includes Gagoknonglak, Gyerak, Boheojaryeong, Yeominlakyeong, Yeongsan- hoesang, Jeongeupmangi, Hyangdanggyoju and they were mostly called Wonmugok. The most frequently used Wonmugok for Jeongjae was Hyangdanggyoju and Boheojaryeong. The accompanying music used in reproducing the 10 events of Jeongjae in Yiwangjik Aakbu, in 1930 had a distinctive difference from the precedent. It is remarkable that Jungyeongsan ·Seryeongsan·Samhyeon dodeuri·Taryeong, the styles of Yeongsanhoesang were newly used for Jeongjae music. In the time of Yiwangjik Aakbu, there was a change in the formation of the band in addition to the change of the accompanying music itself. The formation of ensemble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which had existed for more than 500 years until the Gwangmu year 5 and 6, had changed into the formation of Samhyeonyukgak(three strings and six horns). Samhyeonyukgak was not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from Joseon Dynasty to Daehanjeguk period but used outside the court or private houses. Therefore, today s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by Samhyeonyukgak is the succession of the one of the 1920s, when the formation had changed into the local one from the court one. I have briefly mentioned about the change of Changsa and the melody of Changsa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music of Jeongjae. I am to leave it for tomorrow to do an elaborate study on the research results of Changsa by the literary world, in order to find out the overall aspects that appear in the course of the change of Gagok into Changsa melod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선말~대한제국기 궁중정재의 전승
Ⅲ. 일제강점기 궁중정재의 전승과 재현
Ⅳ. 조선말~일제강점기 정재 반주악곡 및 반주형태의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미선(Lim Mi Sun). (2011).조선말~일제강점기 궁중정재의 전승과 재현. 국악원논문집, 23 , 35-62

MLA

임미선(Lim Mi Sun). "조선말~일제강점기 궁중정재의 전승과 재현." 국악원논문집, 23.(2011): 3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