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의 ‘금쟁(琴箏)’류 현악기 고찰

이용수 216

영문명
A Study of Zither-type Instruments (Geum and Zheng) found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송혜진(Song Hye J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3집, 63~8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금동대향로의 주악상에 표현된 금쟁류 현악기는 금(琴), 쟁(箏), 거문고 등으로 해석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는 각각 전거를 들어 악기의 성격을 규명하고, 악기 명칭을 명명하였지만, 연구에 따라 객관적인 체계를 제시하지 않은 것도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해석이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것도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보다 객관적인 체계 안에서 그 성격과 정체성을 규명할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악기학적인 연구 관점과 동북아시아 금쟁류 현악기의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동북아시아 금쟁류 악기 유물 및 도상자료를 참고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출토지, 제작연대, 크기, 현의 구멍과 현의 수, 현의 고정방법, 울림통의 구조와 모양, 현주(絃柱), 연주법, 연주자의 성별과 복식과 문화적, 상징적 의미 등이 중시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위의 각 항을 유사 악기의 유물과 도상자료를 참고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었다. 첫째, 악기의 크기는 길이 110cm 내외, 폭 20cm 내외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150cm 이상의 길이를 가진 쟁류 악기보다 110cm 내외의 금류(琴類) 악기에 가깝고, 6세기 이전의 고대 유물 및 도상자료에서 보이는 고형의 악기와 유사하다. 둘째, 악기의 몸통 구조와 모양은 긴 장방형이기는 하나, 보편적인 금쟁류 악기와 다르며, 이와 유사한 예를 찾아보기 어려운 이형(異形)이다. 울림통은 하나의 판(板)으로 이루어져 상자(箱子)식, 혹은 구유모양[槽]으로 된 금쟁류 악기와 차이가 있고, 막대모양[棒]의 공명통과도 다르다. 셋째, 현의 구멍[絃孔]은 미상이며, 현의 수(絃數)는 2~3현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울림판의 폭에 비해 현의 수가 적다. 본래 적은 것인지, 적게 표현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울림판의 폭에 걸린 현의 수를 금과 비교했을 때 7현 이하로 추정된다. 넷째, 현의 고정방식은 여러 금쟁류악기 중에서 금에 가장 가깝고, 다섯째, 현주(絃柱)는 표현되지 않았는데, 본래 없었던 것인지 표현이 생략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여섯째, 연주법은 가부좌 자세로 앉아 울림통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양손을 울림통 위에 올려놓은 자세로 고대 금쟁류 현악기 연주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다. 일곱째 주악 인물상은 여성으로 추정되며 복식은 유(襦), 상(裳), 포(袍), 대(帶)를 갖추었다. 여덟째, 금쟁류 현악기는 백제금동대향로의 다른 주악상과 마찬가지로 도교와 불교가 융합된 사상적 배경 및 제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을 정리하면, 백제금동대향로의 금쟁류 현악기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백제의 지역성을 반영한 고유 현악기로 정의할 수 있다. 악기의 크기와 울림통의 구조, 현의 고정방법을 고려해볼 때 악기의 계통은 금쟁류 현악기 중에서 금 에 가깝고, 시기적으로는 6세기 이후 금쟁류 현악기가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변천하기 이전단계의 고형(古形)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근거로 거문고나 가야금과 다른 백제금(百濟琴) 혹은 고대 일본에서 한반도 도래(渡來)의 현악기를 한금(韓琴, 大理須古, 多理志古 )이라고 고 명명한 예에 따라 한금 , 혹은 다리지고 라로 명명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images of zithers, of five musicians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have been known as geum, zheng, and geomun-go. Previous studies were mostly focused on the nature and names of these instruments. However, such interpretation can scarcely be comprehensively applied, since some lack objective systems of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complement precious studies and provide a more objective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type of these zither type instruments, by using organological view-point and the methodology adopted from studies of north-east asian zithers. In previous studies which borrowed data from instrument relics of northeast asian zithers and their images, focus of interest has been centered on the following; place of origin, production date, size, number of strings and holes, method of holding strings, shape and structure of sound box, bowing technique, gender of musician, costume, and cultural and symbolic meanings. This study, based on relics and image data of similar instruments, examines the above categories for the case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rument seems to be about 110 cm long and 20 cm wide. This is closer to a geum, about 110 cm long, rather then a zheng, which is more than 150 cm in length. It looks similar to the ancient instrument images found in relics and images preceding 6th century. Seco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its body is oblong, but different from a typical geum zheng instrument and rather atypical. The resonant box consists of a single board, unlike a geum zheng instrument which has a box-type or manger like shape. It is even unlike a stick-type sound box. Third, the number of string holes is unknown but there seems to be 2~3 strings, which is small considering the width of sound box. It is difficult to decide whether this is the actual case or simply an incident of abbreviation. However, judging from the number of strings on the sound box, and comparing it with those of a geum, there seems to have been less than 7 strings. Fourth, the method of attaching strings is most similar to a geum, among many geum zheng zithers. Fifth, the string post is missing and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it has simply been omitted in the images. Sixth, in terms of the method of performance, a player sits on the floor cross legged, placing the instrument on the lap and both hands over the sound box, which is commonly the case for most ancient zithers. Seventh, the performers seem to be female, fully attired with yu, sang, po, and dae. Eighth, like other instruments found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e geum zheng type zithers have philosophical and ritualistic features that combine Buddhism and Taoism. In summary, from the fact that these zithers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are not found elsewhere, they can be judged as being original string instruments, reflecting local features unique to Baekje. Considering the size, structure of sound box, and method of holding strings, they are akin to the geum, among different geum zheng type zithers, and show ancient form of zither type dating back to pre-6th century A.D. This provides us with a good reason to name them Baekjae-geum, Han-geum or Tariji-go, different from the geomun-go or the gayageum.

목차

<국문초록>
Ⅰ. 백제금동대향로 소재 금쟁류 현악기의 정체성과 명칭 해석
Ⅱ. 백제금동대향로 금쟁류 현악기 성격 규명 방법론
Ⅲ. 백제금동대향로의 성격과 특정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혜진(Song Hye Jin). (2011).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의 ‘금쟁(琴箏)’류 현악기 고찰. 국악원논문집, 23 , 63-85

MLA

송혜진(Song Hye Jin). "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의 ‘금쟁(琴箏)’류 현악기 고찰." 국악원논문집, 23.(2011): 63-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