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아악의 위치

이용수 148

영문명
The Status of japanese Aak -The Diversity of Gagaku(Aak) as a Composite Art of Asi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미타 노리아키(Mita Noriaki)(三田徳 明)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3집,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악(雅樂) 이란 일반적으로 속악(俗樂) 에 대칭되는 정통한 의례음악 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의 한자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 아시아 각국의 아악은 시대적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중국문화의 영향 아래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일본 아악은 토착 신앙인 신도(神道) 의 제사에 쓰이는 음악이나 무용 그리고 5세기 이후 수입된 아시아 여러 나라의 악무가 융합해 집대성한 것인데, 본고에서는 우선 그 전체적인 윤곽을 살핀 후 일본 아악에 있어서의 한반도 문화의 영향을 고찰함과 동시에 오늘날 일본 아악이 직면한 문제점에 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일본 아악은 외래악무의 수용과 전승 분야에 있어 중국의 의례음악으로서의 아악 이 아닌 연향악(宴饗樂) , 다시 말해 당시의 속악 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당초에는 아시아 각지의 지방색이 풍부한 음악과 춤을 각각 전문적으로 연주하고 공연하던 악인(樂人)이 중앙에 다수 존재하고 있었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아악 담당자는 아악료 에서 좌우 근위부의 관인(官人) 이나 전상인(殿上人)으로 옮겨가게 된다. 더욱이 헤이안 시대 중기에는 대규모 악제 개혁이 이루어져 외래의 악무는 이른바 좌우 양부제 를 바탕으로 크게 좌무(좌악)·우무(우악)으로 나뉘게 된다. 춤동작과 반주 음악과의 관계 및 교수법에 있어서의 좌무·우무의 특징은 그대로 오늘날의 한·중 전통 무용의 특징과도 일치 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일본 아악 중 일본의 독자적인 악곡 이라고 믿고 있던 국풍(國風)의 가무 까지를 포함해, 일본 아악의 많은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한반도 문화의 영향을 지적 할 수 있는 사례가 결코 적지 않다.

영문 초록

In general, Gagaku refers to in contrast to folk music, and it is widely used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 Korea·China·Japan, Vietnam, etc. Though there s difference in different times, Gagaku of each country has been influenced by China and has developed independently. Japanese Gagaku was fused and compiled with the music and dance of other Asian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music and dance used in memorial services for Shinto(神道) , the indigenous religion. In this paper, I intend to examine its overall outline and to mention about the problems that Gagaku is confronting this day as well 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in its history. In this field, as a court music for rituals, Japanese Gagaku accepted Yeonghyangak(宴饗楽; court banquet music), that is not Gagaku in China but Folk music and dance in China . In early Tang Dynasty, there existed professional musicians in the capital who played and danced regional music and dance of each country of Asia. By the Heian period, people in charge of Gagaku transferred from Utamai-no-tsukasa(雅樂寮) to Konoehu-no-Bukan(近僞府武官) or Tenjohbito(殿上人). Especially in the mid Heian period, there was a large-scale reformation of music system. Foreign music and dance was divided into two divisions, Left Dance(Left music)·Right Dance(Right Music), based on the rule of Bipartition of Left and Right . It see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eft Dance·Right Dance correspond with those of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Japan, in the relation to its accompanying music and the teaching method as well as the movements of dance. In brief, there are quite a few cases implying that Korean culture had a great influence to Japanese Aak, even including Music and Dance of Kuniburi(國風) , which is believed to be the Japan s indigenous piece . 「雅楽」とは、一般に「俗楽」と対称をなす<正統な儀礼音楽>を指示し、中国、日本、朝鮮、ヴェトナムなど、漢字文化圏で広く使われる用語である。アジア各国の雅楽は、時代的差異こそあれ、一様に中国文化の影響の下に独自の発展を遂げていった。 日本雅楽は、土着信仰「神道」の祭紀に付随する音楽や舞と、5世紀以降輸入されるアジア諸国の楽舞が融合し、集大成されたものだが、本稿では、まずその全体を俯瞰したうえで、日本雅楽における朝鮮半島文化の照射考察し、さらに日本雅楽の直面する今日的問題点を整理してみたい。 日本雅楽はこの分野において、中国から儀礼音楽としての「雅楽」ではなく、「宴饗楽」、つまり当時の俗楽のほうを積極的に輸入したのであった。当初は、アジア各地の地方色豊かな音楽や舞を、それぞれ専門に演奏したり舞ったりする楽人が、日本に多数存在していた。 平安時代(794-1191)になると、雅楽の担い手は「雅楽寮」から、左右の近衛府の官人や殿上人に移り、平安中期には大規模な楽制改革が行われ、外来系の楽舞は、所謂「左右両部制」に基づいて大きく左舞(左楽)·右舞(右楽)に二分されるようになる。 左右の舞を比較してみるとき、舞動作と伴奏音楽との関係、および教授法における左舞、右舞の特徴は、そのまま現在の中国·韓国の伝統舞踊の特徴とも吻合する部分があると考える。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일본 아악의 범주
Ⅲ. 외래 악무의 수용과 전승
Ⅳ. 악제 개혁과 좌우 양부제
Ⅴ. 좌무·우무의 특징
Ⅵ. 일본 아악 속의 한반도적 요소
Ⅶ. 일본 아악의 전승과 오늘날의 문제점
Ⅷ. 결론
<참고문헌>
<日文沙錄>
Ⅰ. 序
Ⅱ. 日本雅樂の範疇
Ⅲ. 外來の 樂舞の受容と伝承
Ⅳ. 樂制改革と 左右両部制
Ⅴ. 左舞·右舞の特徵
Ⅵ. 日本雅樂の中の, 朝蘇半島的要素
Ⅶ. 日本雅樂の伝承法と,今日的な問題点
Ⅷ.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미타 노리아키(Mita Noriaki)(三田徳,明). (2011).일본 아악의 위치. 국악원논문집, 23 , 1-34

MLA

미타 노리아키(Mita Noriaki)(三田徳,明). "일본 아악의 위치." 국악원논문집, 23.(2011):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