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강법(用綱法)과 만중삭(慢中數)

이용수 100

영문명
Yonggangbeop, the Phrase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Majungsak, the Three Tempo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정경란(Chung Kyung rha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1집, 169~20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용강법(用綱法)은 6대강의 쓰임새를 말한다. <진작>·<봉황음>과 같이 1·2·3곡으로 이루어진 삼기곡(三機曲)에서 제1곡은 만(慢)의 빠르기 음악, 제2곡은 중(中)의 빠르기 음악, 제3곡은 삭(數)의 빠르기 음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기곡이 아닌 단일곡으로 이루어진 곡들, 특히 문헌에만 나타나는 고려 및 조선초기의 향악곡들은 악곡의 빠르기를 전혀 알 수 없었다. 필자의 『고려속악의 여음』 연구를 통하여 여음선율을 통한 고려 향악곡의 악곡 빠르기를 대략 파악해낼 수 있었으나, 실제 용강법을 분석하여 악곡의 빠르기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용강법을 분석하여 만·중·삭의 세가지 속도의 빠르기 음악이라도 1차 분류해내면, 같은 빠르기를 가진 악곡들의 특징을 밝혀 낼 수 있고, 또한 유사한 빠르기를 가지는 악곡들간의 상호관계가 밝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용강법 분석은 고려 및 조선의 시대적 음악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강법 분석은 먼저 <진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구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고려 향악곡을 만중삭의 세가지 빠르기 음악으로 분류하였다. 만(慢)의 빠르기 음악은 1강부터 6강까지 고루 음이 출현하며, 3강과 5강에만 출현음이 없이 비어있는 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中)의 빠르기 음악은 만의 빠르기 음악에 비해 출현음수가 현격히 줄어들어 3강과 5강의 쓰임이 많이 없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삭(數)의 빠르기 음악은 2강과 5강의 음사용이 현격히 줄어들고, 3강과 6강의 출현음도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진작>4와 같은 빠른 삭(數)의 음악은 <진작>1·2·3의 4행단위 장고형에서 2행단위의 빠른 장고형으로 바뀌고, 악곡도 반으로 줄었으며, 용강사용에 있어 2강과 5강의 사용의 적고, 1·3·4·6강의 출현음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용강법을 통한 악곡빠르기 분석 결과는 여음분석을 통하여 악곡의 빠르기를 추정하였던 내용과 일치하여 향후 선율분석을 통한 삼기곡의 구체적인 선율변화를 살펴보면 고려 향악곡의 빠르기 및 음악 특징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Yonggangbeop is a traditional Korean musicological term which refers to the phrase (gang) structure of a musical composition. Musical compositions such as Jinjak and Bonghwangeum consist in three sections or movements of varying tempos. The first section was intended to play at a slow tempo (man), the second at a moderately rapid tempo (jung)and the third at a rapid tempo (sak). With compositions consisting in a single movement, however, there is no way of determining their tempo in the absence of tempo markings of any kind. This is also certainly the case with hyangak pieces, mentioned in historical record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of which there are no extant copies. In an earlier study entitled Yeoeum in Popular Musical Genres of Goryeo, I was able to roughly determine the tempo of hyangak piece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by analyzing the melodic structure of yeoum, the refrains. However, yonggangbeop or phrase structure is the surest and most direct indicator of the tempo of a piece of music. If one could determine which of the three tempos, namely, man, jung and sak, is used for a musical com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ts phrase structure, this allows the comparison of pieces with the same tempo to reveal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that of those with similar tempos to discover any compositional similarities between them. Phrase structural analysis, furthermore, is likely to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overall musical trend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is research was started by analyzing the phrase structure of samgigok, in other words, those pieces consisting of three sections or movements. Based on characteristics revealed through this analysis, hyangak piece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empo groups of man, jung and sak. Music pieces at the man tempo had notes appearing evenly throughout, from the first gang (phrase) to the sixth gang, with some vacant squares, indicating the absence of notes, only in the third and fifth gang. In pieces of a jung tempo, there are much less notes in the third and fifth gang than in pieces of a man tempo, suggest that the use of these two gang had become less frequent in this moderately rapid tempo. With sak-tempo pieces, few notes were used in the second and fifth gang, with notes appearing scarcely also in the third and sixth gang. In pieces with a very rapid tempo like Jinjak4, more notes are seen in the second and fifth gang, than in regular sak-tempo music, and the amount of notes in the rest of the six gangremained roughly the same as in the latter. The results of the yonggangbeop analysis corroborated my earlier findings from the yeoeum analysis, regarding tempo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Future research on investigating the melodic structure of samgigok should cast further light on both the tempos used in Goryeo and early Joseon music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sic from this perio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고려 향악곡의 용강법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란(Chung Kyung rhan). (2010).용강법(用綱法)과 만중삭(慢中數). 국악원논문집, 21 , 169-200

MLA

정경란(Chung Kyung rhan). "용강법(用綱法)과 만중삭(慢中數)." 국악원논문집, 21.(2010): 169-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