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도만가의 선율구조

이용수 119

영문명
The melodic structure of Jindo funeral song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최헌(Choi He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1집, 41~6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진도만가는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에 전승되는 장례의식민요로,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어있고, <애소리>, <긴염불>, <중염불>, <자진염불(나무아미타불)>, <천근소리>, <하적소리>, <재화소리>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도만가 중 <긴염불>의 음악적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선율구조의 분석방법은 소박, 박, 박자, 장단 등 각 층위의 길이 단위에 따라 지배적인 음을 찾아내고, 이들의 반복 여부를 살펴 각 층위별 선율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긴염불>은 메기는 소리는 4각+3각+3각의 구조로 되었고, 받는 소리는 4각+3각+4각으로 이루어져 그 길이가 다르다. 선율은 반종지(A), 종지(E), 완전종지(A)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변화구조(E, A, d) + 반종지(A) + 종지(E) + 완전종지()로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에 각각 세 번씩 반복되는데, 첫 번째는 종지, 두 번째는 반종지, 세 번째는 완전종지로 구성된다 하겠다. <긴염불>의 원점 선율은 가사에 따라 3소박 2박 또는 3박, 4박에서 지배음을 뽑아 6박자 한 각에 두 음씩으로 표현 한 것으로, 이 층위에서는 한 각안에서의 선율의 상행, 하행, 수평 등 방향을 살필 수 있고, 종지선율의 고정된 형태(A-E)를 볼 수 있다. <긴염불>의 간점 선율은 3소박 1박자에 지배음을 뽑은 것으로 이 층위에서는 선율의 윤곽을 어느 정도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반종지형 선율의 형태(BAB)를 알아 볼 수 있다. <긴염불>의 요성 단계와 장식은 선법적인 이유와 음의 소리 내는 방식에 따른 두 가지의 이유에서 나타나는데, 선법적인 이유에서는 굵은 요성, 퇴성〔꺾는 방식(다루치는 방식 포함)〕, 굵게 떨며 하행하는 방식, 천천히 아래로 퇴성하는 방식)과 평으로 내는 것이 있고, 음의 소리 내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는 긴 시가의 경우 뒷부분을 잘게 떨어주는 잔요성과 음의 앞에서 강조하며 나타나는 전타음 등이 있다. 결국 골격 층위의 선율은 반복구조 즉 악곡을 구성하는 각 악구 선율의 공통성(통일성), 원점 층위의 선율은 3소박 6박자 한 각 안에서의 선율의 방향, 간점 층위의 선율에서는 하나의 선율을 구성하는 선율 요소(반종지, 종지, 완전종지)들의 관계, 장식선율 층위의 선율에서는 해당악곡의 선율의 특징, 요성 층위의 장식에서는 선법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영문 초록

Jindo-manga has been transmitted as a traditional funeral dirge in Inji-ri, Jisan-myeon, Jindo-gun, Junra provance. It also was designated as a Junra provance s 19th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consists of seven parts; , , , , , , . This research is aiming at clarification of its distinctive musical feature, especially in Jindo-manga. To investigate its melodic structure, find the leading notes by each scales various measuring ways as Sobak, Jangdan, time, rhythm, then check whether it repeats(moreover check how often it repeats) or not. There is a length difference in two section s beat structure; Megineun-sori s (meaning leading song) structure in consists of 4(Gak)+3+3 and Batneun-sori s(meaning receiving song) structure is 4+3+4. Its melodic scale could be divided into three ways; Half cadence(A), cadence(E), perfect cadence(). The playing order by its melodic structure is Plagal structure(E,A,d)+half cadence(A)+cadence(E)+perfect cadence() . And it repeats three times(E-A-) both Megineun-sori and Batneun-sori. s main melody is represent for six-beats which are originally the leading tones of 3Sobak-2Bak, 3Bak or 4Bak. Besides the cadence form is fixed(A-E), there are various types of scales are found as going up, going down or maintain the level. s sub melody is represent for the leading tone of 3Sobak-1Bak. In this melody, a detailed analysis could be placed. The half cadence form(B-A-B) is also founded. Its unique Yoseong(means shaking the sound) and ornament are based on both its scale and the way of playing. There are Thick-yoseong, Toiseong, level sound in its scale. And appoggiatura(grace note) and Shallow-yoseong are founded. Eventually, by the research on its melodic structure, several facts are founded; The structure of repetition, the commonness of the scales, melodic directions, the relations between the cadence forms, unique grace not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헌(Choi Heon). (2010).진도만가의 선율구조. 국악원논문집, 21 , 41-66

MLA

최헌(Choi Heon). "진도만가의 선율구조." 국악원논문집, 21.(2010): 4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