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가면극의 기존 노래 수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0

영문명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Existing Songs in Korean Mask Plays - Scenes that Monks Appear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임혜정(Im Hye j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1집, 67~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래 한국의 가면극은 현장성과 즉흥성을 지닌 공연예술이었다. 정해진 대본이 있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공연 당시의 시간적, 공간적 상황이나 연희자, 관객의 성향에 따라 그 내용이 일부 변화되기도 했다. 이는 노래와 관련해서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노래 외의 극적인 요소는 고정적으로 두고 단지 극적 상황에 맞는 기존 가요, 또는 관객이 좋아하는 기존 가요를 상황에 맞게 가져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즉 당시 유행하고 있었거나 연희자의 음악적 역량에 적합한 기존 가요를 수용하면서 극 진행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가면극의 내용을 일부 변화시키거나 일정 장면을 새로 창조했다고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가면극 중 중이 등장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기존 가요 수용에 관해서 논의해 보았다. 그에 따르면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의 중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서로 공통적으로 불리는 노래들이 있었다. <백구타령>과 <중타령>이 그 예인데 이 노래들의 음악적 특징, 기존 가요와의 관련성, 각 가면극에서 불려지는 상황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 노래들이 가면극에서 중의 배역을 맡은 연희자에 불리는 것은 원래 불교 집단의 음악 공연을 모방하여 관객들이 이미 인식하고 있던 중의 음악행위를 제시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본고에서 살펴본 <백구타령>과 <중타령>에 한해서는 원래 기존 가요가 공연되던 공연 문화 자체를 수용하였고 이로 인해 가면극의 일정 장면이 성립되는 등 가면극의 내용 전개에도 기존 가요 수용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고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렇게 가면극에 수용된 기존 가요는 연희자의 음악적 재량이나 관객의 성향에 의해 음악적 내용이 변모되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Korean mask plays used to be an art performance with realism and improvisation. Since there was no fixed script, its story has depended on several facts such as time, place, performer, even audience. Not only its story line, but its song parts has been effected. It would be difficult to accept the existing popular songs which fits to either its story line or audience s taste, while other factors still remained. It means that some mask plays were changed; Its story line or added new scene to adjust performer s own musical style or accept some popular songs that audience would prefer. This paper is about the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existing songs in Korean mask plays, especially scenes that monks appear.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were common songs in various plays; Bongsan mask play , Ganryeong mask play , Eunyul mask play , Yangjubyeolsandae play , Songpasandae play . The title of the songs are and .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facts as distinct style, relevance to existing songs and the situations when the performer sings the song, it seems that performer suggest monk s performance style by imitating original music performance way in Buddhism that audience already know. It seems that there was an acceptance of existing songs based on the research on and . Moreover the mask play itself has been influenced in some ways by this acceptance, for example some scenes were added or changed. The accepted existing songs were also changed its substance by performer s musical ability and audience s prefere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가면극에 수용된 <백구타령>
Ⅲ. 가면극에 수용된 <중타령>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혜정(Im Hye jung). (2010).한국 가면극의 기존 노래 수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1 , 67-82

MLA

임혜정(Im Hye jung). "한국 가면극의 기존 노래 수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1.(2010): 6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