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한어 성조와 한국 범패

이용수 151

영문명
A study on the melodic relationship Korean Buddhist chants and The Chinese phoneme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소희(Yoon So 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8집, 113~1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식(曺植192~232)이 중국식 범패를 창제한 시기는 중국 음운사에서 『시경』과 『초사』를 중심으로 하여 고대음운(古代音韻)이 형성되던 시기였다. 그러므로 중국 범패의 선율 전개도 성조의 변화와 함께 영향을 주고받았다. 중국 한어 음운의 양상을 보면, 촘촘하게 읊는 가운데 다소 자유로운 율조를 지녔던 고대음과 달리 중고음(中古音)시기에는 음운과 성조의 틀이 보다 분명해졌다. 그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격률을 요구한 때는 당대(唐代)이고, 이때의 범패가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한국의 범패는 당대의 한어절운과 성조의 전통을 이어 받았으므로 오늘날 한국의 범패 중 바깥채비가 노래하는 범패 가사는 당대의 정형시와, 안채비 4성은 산문체인 부(賦) 의 율조와 연결됨을 본고에서 확인하였다. 한국의 백파스님이 저술한 『작법귀감』에 설명되고 있는 4성에 대한 내용은 당나라츠우종(處忠, chǔzhōng)스님이 저술한 『원화운보(元和韻譜, yuánhéyùnpǔ)』(806-827)의 내용과 일치함을 또한 본고의 연구 과정에서 찾아내었다. 영남지역에는 지금도 작법귀감의 4성에 준하여 소리를 지어가므로 당대의 4성 원리가 다소 살아있다. 실제 영남범패를 채보해 보면 대개 4음의 범주를 벗어나는 일이 드물다. 이는 중국 당대의 음운 체계와도 상통하는 점이 많았고, 오늘날 북경의 보통화 성조와도 연결되는 점이 공존하기도 하였다. 이는 당대의 부체(賦體) 와 상통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범패의 성조와 율조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큰 흐름이 당대(唐代)의 시체와 산문체인 부(賦)와 연결되는 점은 팔리어 송경 율조 중 시체로 된 가타와 그 외의 일반 경전 율조로 양분되는 것과도 상통하는 점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Cáozhí(曹植192~232) composed Chinese Buddhist chant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the Chinese phoneme based on the Book of Odes(詩經) and Chǔcí(楚辭). So I think the melodies of Chinese Buddhist chants were influenced by developments in the Chinese phoneme, because Song is made from language. The phonemes of ancient Chinese letters were read more freely and closely than the after age. The most rigid phoneme period was during the Tang Dynasty, such as the five-seven-five syllable structure. At that time, phonemic syllable structures and Chinese Buddhist chants flowed in Korea. Nowadays the phoneme style of the Middle Ages is still alive in Korea, especially in the Buddhist Beompae chants of Yeongnam province. The Buddhist chants received the traditions of tone of voice and phoneme from the Dang Dynasty. Korean melisma chants related to poetry with a fixed form and the recitation of Dang prose fù(賦). The Buddhis Uigwe contains an explanation of 4 kinds of voice tone. Jakbeobgukgam(作法龜鑑) was written by the Korean Monk, Beakpa. I was able to discover the same contents in the book Yuánhéyùnpǔ(元和韻譜) written by the Chinese monk Chǔzhōng during the Tang dynasty. It heralds from the same age. I also discovered that a little traditions of the 4 tones of voice of the Tang Dynasty is still upheld in the Yeongnam Beompae and in the recitations of the Gyeonggi province referred to in this study. The same phenomenon occurs with the Pali sutra reading style, such as the Peotic Gātha Dhammapada recit musically, the other have a close read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중국 한어 음운의 시대 구분
Ⅲ. 한어 성조의 형성과 변화
Ⅳ. 경전 한역이 성조에 끼친 영향
Ⅴ. 현대 보통화의 4성 율조
Ⅵ. 한어 성조와 한국 범패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희(Yoon So hee). (2013).중국 한어 성조와 한국 범패. 국악원논문집, 28 , 113-141

MLA

윤소희(Yoon So hee). "중국 한어 성조와 한국 범패." 국악원논문집, 28.(2013): 113-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