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이용수 130

영문명
Jeok and Tungso in Akhakgwebeom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박은옥(Piao En yu)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8집, 71~8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악학궤범』 권6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 의 적(篴)과 권7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 의 퉁소(洞簫)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적(篴)은 적(笛)과 같은 악기로 간주되고 있고, 가로로 부는 악기라고 여기는 것과 달리 『악학궤범』의 적은 세로로 부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기록과 산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악학궤범』 적의 기록도 중국 퉁소의 기록과 유사하며, 퉁소와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세종실록』에서 세종8년에 악학별좌 박연이 올린 문서에서 과거 헌가의 적(篴)이 응종과 무역의 소리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종래에 쓰던 적을 버리고 중국에서 보내온 퉁소로 대체하게 하였던 사실도 발견할 수 있었다. 적(篴)과 퉁소의 이러한 많은 연관성 때문에 『악학궤범』 권6의 적과 권7의 퉁소를 비교하게 되었다. 『악학궤범』 적과 퉁소의 기록에서 모두 산형도를 발견할 수 있고, 이들이 연주한 선법을 알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적의 산형도는 아악의 연주범위에 맞게 12율명으로 기록되어 있고, 퉁소의 산형도는 오음약보와 공척보의 병기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적과 퉁소는 여러 가지 선법으로 연주할 수 있는데, 산형도에서는 하나의 선법만 그려져 있다는 것은 이 선법이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적과 퉁소는 각각 아악과 당악에서 연주되었기 때문에 적과 퉁소에 그려진 선법은 아악과 당악에 많이 사용된 선법이라 여길 수 있다. 『악학궤범』 적과퉁소의 산형도를 알아내기 위해 송나라 태상적,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6공 퉁소의 지법과 비교하게 되었고, 『악학궤범』 적의 지법은 송나라 태상적, 현재 6공 퉁소의 지법과 모두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와 반대로 『악학궤범』 퉁소의 지법은 현재 6공 퉁소 지법에서의 범자조(凡字调:E선법)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riefly explained Jeok in Akhakgwebeom (Korean musical treatise) Vol. 6 Abuakgidoseol and Tungso(six-holed bamboo flute) in Vol. 7 Dangbuakgidoseol. In general, Jeok(pipe) is regarded as a traverse flute and the same as Jeok(bamboo flute). However, through examination of records and Sanhyeongdo, it was confirmed that Jeok in Akhakgwebeom is played vertically. In addition, records about Jeok in Akhakgwebeom are similar to the Chinese records about Tungso, and thus Jeok in Akhakgwebeom is considered to have some relevance with Tungso. In particular, according to Sejongshilok (the Annuls of King Sejong), a document submitted by Akhakbyeoljwa Park Yeon wrote that the previously used Jeok of Heonga(a musical band) was abandoned as it did not produce sufficient sound for Eungjong and Muyeok and was replaced with Tungso sent from China. Based on such relevance between Jeok and Tungso, this study compared the records about Jeok in Vol. 6 of Akhakgwebeom and those about Tungso in Vol. 7. The records of both Jeok in Akhakgwebeom and of Tungso contained Sanhyeongdo and this was a very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fingering techniques use to play these instruments. The Sanhyeongdo of Jeok is recorded with the names of 12 pitches to suit the range of Aak(ceremonial music from Song Dynasty) performance and the Sanhyeongdo of Tungso is recorded using both Oeumyakbo and Gongcheokbo. In general, Jeok and Tungso can be played using various fingering techniques. The fact that only a single fingering technique is drawn in Sanhyeongdo means that this particular fingering technique was most frequently used. Jeok and Tungso were played for Aak and Dangak(music from Dang Dynasty) respectively. Therefore, fingering techniques drawn for Jeok and Tungso can be regarded as fingering techniques frequently used in the performance of Aak and Dangak respectively. To examine Sanhyeongdo for Jeok in Akhakgwebeom and Tungso, fingering techniques for the fix-holed Tungso currently used in China and those used in the time of the abdicated emperor of Song Dynasty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ingering technique for Jeok in Akhakgwebeom was different from fingering techniques used to play Tungso in the period of Song Dynasty and in the present tim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fingering technique for Tungso in Akhakgwebeom was almost the same as Beomjajo(E-mode) of the currently used fingering technique for six-holed Tungso.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Ⅲ. 『악학궤범』 적(篴)과 퉁소(洞簫)의 산형도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옥(Piao En yu). (2013).『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 , 71-88

MLA

박은옥(Piao En yu).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2013): 7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