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남굿의 장단 구성과 무속문화권적 특징

이용수 126

영문명
The Musical Organization and Shamanistic-Cultural Characteristics of Haenamgut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혜정(Kim Hey J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8집, 47~7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해남굿을 대상으로 타 지역 씻김굿과의 비교를 통해 음악적 특성과 문화권적 특징을 점검해 보려 한다. 해남굿의 세습무로는 함화자, 김춘심, 안애임의 세 사람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비교할 대상은 해남 주변 지역인 진도, 신안, 영암, 고흥, 화순, 순천 등의 굿에 한정하였다.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남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다. 해남굿에서 오구굿이 제석굿보다 먼저 연행되는 점, 손님굿을 하지 않지만 다른 가택신은 모두 챙겨 연행하는 점, 판소리 장단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불규칙 박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제석굿에서 진양조의 중타령을 부르는 점 등은 해남굿 만의 특성이다. 오구굿이 제석굿에 앞서 있는 점은 굿 전체를 망자를 위해 진행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장점이 있어 제석굿이 주는 재수굿적인 느낌을 감소시켜준다. 또 오구굿이나 길닦음에 상여소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 역시 해남 무녀들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해남굿에 영암, 고흥 등 동부 지역과의 연계되는 특성이 있다. 성주굿과 지왕굿 등의 가택신을 위한 굿거리가 있는 점, 초가망석보다 선부리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점, 3소박 중모리를 사용하는 점 등은 영암이나 고흥 등 동부 지역의 특성과 같다. 악곡 구성에 있어서도 영암굿과의 유사성이 더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해남굿에는 서부지역의 특성도 약간 드러난다. 진양조 장단에 3+3의 구조가 없고 4+2의 구조만 사용한다는 점, 중중모리를 사용하는 점은 전남 서남부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부 지역과의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인접한 진도의 굿이 문화재 지정으로 인해 이미 많은 변화를 겪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해남은 독자적인 굿의 구조를 갖고 있지만, 크게 보아서는 영암이나 완도와 같은 지역권으로서 전남 동부와 서부의 특성을 골고루 갖고 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또 해남만의 특성에서는 대부분 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음악을 지향하고 굿의 질서를 정연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Haenamgut(shaman ritual), which has not been studied yet, and attempts to examine its music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its cultural a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igimgut of other regions. Objects for comparison are limited to gut from regions close to Haenam such as Jindo, Shinan, Youngam, Goheung, Hwasun, and Sunchun.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discussion. Firstly, Haenam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s. The following facts are distinctive to Haenam gut: that Ogugut precedes Jesukgut; that it caters for all the house gods but Sonnimgut; that it uses the titles of Pansori rhythm and does not use irregular beat at all; and that it uses Jungtayrung of Jinyangjo in Jesukgut. The fact that Ogugut precedes Jesukgu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whole gut is performed for the deceased and reduces the impression of luck gut. In addition, Sangyeosori is not used at all in Ogugut and Gildakum, a common feature among Haenam shamans. Secondly, There are some features in Haenamgut which are related to the eastern regions such as Youngam, Goheung, and etc. The following facts are identical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region such as Youngam and Goheung: that there are gutguri for house gods such as Sungjugut and Jiwanggut; that it uses the title Sunburi rather than Chogamangsuk; and that it uses 3 small beat Jungmori. Thirdly, There are some hints of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region in Hanam gut. It has Jinyangjo rhythmic structure, and it uses only 4+2 structure and not 3+3, and finally it uses Jungjungmori, making it very similar to the Southwestern part of Jeonnam. However, the fact that it has relatively less relation to the western region may be that gut of nearby Jindo i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and went through a lot of changes. Haenam has unique structure of gut. In a larger sense, it belongs to the same regional zone with Youngam and Wando and shares a lot of features wi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region of Jeonnam. It is oriented toward more sophisticated and elegant style of music and recognizes the order of gut systematical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해남굿의 절차 구성
Ⅲ. 해남굿의 거리별 악곡 구성
Ⅳ. 해남굿의 장단 사용 양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Kim Hey Jung). (2013).해남굿의 장단 구성과 무속문화권적 특징. 국악원논문집, 28 , 47-70

MLA

김혜정(Kim Hey Jung). "해남굿의 장단 구성과 무속문화권적 특징." 국악원논문집, 28.(2013): 4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