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이용수 388

영문명
Area Selection of Easement and Change Patterns of the Neolithic Dwelling Sit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구자진(Koo Ja Ji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3호, 61~9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구조와 특징, 변화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기존의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편년과 지역권설정은 좀 더 세분화 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두만강유역, 압록강유역, 대동강·황해도지역, 한강·임진강유역, 중동부지역,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 중부 서해안지역, 남부내룩지역, 남해안 지역의 9개 지역권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별·시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크게 Ⅰ기~Ⅲ기의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Ⅰ기는 기원전 6,000년~기원전 3,500년, Ⅲ기는 기원전 3,500년~기원전 3,000년, Ⅲ기는 기원전 3,000년~기원전 2,000년을 하한으로 분기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기설정 중 Ⅰ기는 집자리 유적의 증가에 따라 세분될 가능성 높으며, Ⅰ·Ⅱ기로 양분한 중서부지역의 경우도 추후 자료의 증가에 따라 Ⅱ기의 경우 Ⅱ기와 Ⅲ기로 세분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집자리의 특징과 절대연대측정값을 통해서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는데 , 두만강 유역과 중동부지역에서는 양 지역의 Ⅰ기 집자리에서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위치 및 바닥처리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Ⅱ·Ⅲ기 집자리에서도 평면형태의 변화, 화덕자리의 구조 및 위치에 있어서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동강·황해도지역은 한강·임진강유역의 동시기인 Ⅰ기에 평면형태, 규모, 출입구시설, 저장구덩 등의 구조에 있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Ⅱ기는 금강유역과 평면 형태(장방형 집자리가 하나의 형식으로 정립)나 구조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남부내륙지역과 압록강유역의 동 시기에도 통일한 양상을 보인다. 한강·임진강유역과 중부 서해안지역은 시기를 달리하여 평면 형태와 기둥구멍 배치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나 화덕자리의 구조와 유적의 입지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집단의 이주 및 확산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중부 서해안지역에서 아직 Ⅰ기에 해당하는 집자리 유적의 조사가 미비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추후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 보아야 할것 같다. 중부 서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은 동시기에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 ‘서해안식 집자리’ 와 ‘대천리식 집자리’가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동시기 집단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금강유역과 남부내륙지역은 집자리의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구조와 위치·형태 등이 동일한 양상을 보여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데, 집자리의 내부구조와 입지에 있어서는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남부내륙지역의 ‘송죽리식 집자리’는 출입구시설과 내부공간분할, 구릉상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대천리식 집자리’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집단의 생계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동일집단의 집자리 형태로 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Study of the dwelling sites in the Neolithic of the Korea in terms of thei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made it possible to segment further existing area selection of casement and chronological recording performed around existing comb-pattern pottery. In Neolithic, there were nine area selection dwelling sites in Korea: The Tomen Basin, The Yalu Basin,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Middle East, the Geum River Basin (interior of Chungcheong), Mid West Coast, Southern Interior and South Coast. Properties and change patterns for each area of different times were identified. The Neolithic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I through III. Period I ranged from 6,000 to 3,500 B.C., Period from 3,500 to 3,000 B.C., and Period III from 3,000 to 2,000. I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segmented further as more dwelling sites are discovered. The mid western area, which is divided into I and II, can be segmented into II and III further, but there has been no supporting data from dwelling sites and absolute dating method. There are some similarities in the dwelling sites in each area of each period of the Neolithic. In the Tomen Basin and Middle East, similarity was found in the horizontal shape, the location of stove site and the floor finishing. The same is also found in the dwelling sites in Period II and III.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area has close connection with Period I of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door system and storepit. It has similarity with Period II of the Geum River Basin in terms of horizontal shape (one unit of rectangular dwelling site) or structure, which can also be found in Southern Interior and the Yalu Basin.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and Middle West Coast have similarity in the horizontal shape and the layout of pillar holes, but differ in the structure of stove site and location of the remains, which is worth of noting. It still remains to see whether it is the result of collective movement and expansion or it is because research into the dwelling sites for Middle West Coast for Period I is not enough until more data is collected. Middle West Coast and the Geum River Basin(the interior of Chungcheong) have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and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originated in the same period, bu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reflects the difference in the contemporary groups. Tile Geum River Basin and South Interior have similarities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the structure, location and shape of stove sites, which suggest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ut they differ in the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location. In particular. the Songjuk-ri type dwelling site in the South Interior is different from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has separate doors. iniernal partition and location along the hill. Such difference has to do with lifestyle of each group. which cannot be seen as a dwelling site for the same group.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유적 현황 및 분기설정
Ⅲ. 지역별 집자리의 특징과 변화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진(Koo Ja Jin). (2007).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한국신석기연구, (13), 61-98

MLA

구자진(Koo Ja Jin).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한국신석기연구, .13(2007): 6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