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의 흑색토와 식물교란흔 조사 사례 검토

이용수 122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Research Case of the Black Soil and Floral Disturbance Marks in the Neolithic Ag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동숙(Kim Dong Su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3호, 29~5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대구 유천동 248-1 번지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 유적의 조사 성과와 의의를 소개하고, 조사 당시에 그 성격을 밝히지 못하였던 흑색토와 수혈 B류의 성격을 재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유천동 248-1번지 유적은 월배 선상지 말단부 충적평야에 위치하는 신석기시시대의 취락유적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방형주거지 2동, 야외노지 6기, 구상유구 3기, 수혈 41기, 집석유구 3기, 주혈 46개에서 38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은 대부분 침선계의 삼각 및 능형 집선문을 시문한 토기가 주를 이루나 이중구연토기도 포함되어 있어 대략 김천 송죽리유적 후기~말기, 김해 수가리 Ⅱ기, 합천 봉계리유적 Ⅱ~Ⅲ기, 청도 오진리 암음유적의 중기~후기의 단계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번 조사를 통해 대봉동. 서변동, 대천동 유적과 함께 대구지역의 신석기시대 연구에 자료를 추가함은 물론 상술한 영남내륙지방의 신석기시대 취락유적의 한 사례를 덧붙였다는 점에서 조사의 의의가 크다 하겠다. 이번 조사 지점의 신석기시대 환경은 흑색토의 존재로 보아 완신세의 기후 온난화로 지표에 참억새 등의 규산제가 다량 포함된 초원적인 식물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수혈 B류로 구분하였던 유구는 식물교란의 메카니즘 가운데 나무가 넘어진 자연교란의 흔적으로 재고하였다. 이러한 흑색토와 식물교란흔은 신석기시대 후기의 식생과 기후를 포함하는 자연경관의 복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research outcome and significance of the Neolithic age site at Yucheon-dong 248-1 in Daegu, and reconsider the character of both the black soil and the B type of pit houses whose characters were not elucidated during the excavation period. The Yucheon-dong site is a unit settlement site of the Neolithic age, which is located at alluvial plains in the end part of the Wolbae alluvial fan. Through the excavation research, more than 400 relics were exhumed from the following structural remains: two square dwelling sites, six outdoor furnace sites, three spherical structural remains, forty pit houses, fifty four structural remains from three structural remains composed of assembled stones, and forty six post-holes. These relics reveal a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the following different sites: those of the second period of the Suga-ri site in Gimhae, thos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of the Bonggye-ri site in Hapcheon, those betwee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of the Songjuk-ri site in Gimcheon, and those betwee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of the Ojin-ri Ameum site in Cheongdo. That is to say, most of these relics include triangular and rhomboid jipsconmuns(集線紋: collective linear pattern) originated from chimseon (沈線 : incised line), while some of them contain sechimseonmun (細沈線紋: thinly incised linear patten) and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With the Daebong-dong, Seobyeon-dong and Daecbeon-dong sites, the Yucheon-dong site enabled us to add data, which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local history of Daegu in the Neolithic age, through the excavation research. Besides, this research is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fact that this site, with the sites mentioned in the above, added a case of the unit settlement sit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inland Yeongnam region. The black soil identified fro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surface of the earth was being covered with the grassland-flora, which contains many silicic acid materials for example, Miscanthus sinensis group. Such a phenomenon was resulted from the climatic warmth in the Holocene epoch. In addition, the structural remains classified into the B type of pil houses were reconsidered as a mark of the natural derangement where the roots of trees fell by wind and were piled up. The natural disturbance is one of the mechanisms of floral disturbance. It is believed that both the black soil and the floral derangement marks will be utilized as data for restoration of the vegetative environment in the late Neolithic age.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동기와 현황
Ⅱ. 조사내용 개관
Ⅲ. 흑색토와 식물교란흔 조사내용 검토
Ⅳ. 유사 사례 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숙(Kim Dong Suk). (2007).신석기시대의 흑색토와 식물교란흔 조사 사례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13), 29-59

MLA

김동숙(Kim Dong Suk). "신석기시대의 흑색토와 식물교란흔 조사 사례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13(2007): 29-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