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

이용수 1185

영문명
Life of Tongsamdong Shell-midden Peopl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최종혁(Choi Jong Hye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8호, 117~1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삼동패총은 한국 신석기시대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유 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패총의 입지는 대륙붕이라는 지형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난류인 쿠로시오해류와 한류인 리만해류가 만나 潮境水域을 이루고 있다. 또 暖帶林 의 植物帶와 온대계절풍대의 氣候帶에 속해 패총이 입지하기에는 아주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주변에도 많은 유적들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동삼동패총은 신석기시대 전시기에 걸쳐 형성되어 당시의 생업을 알 수 있는 좋은 유적으로 평가된 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패총에서 출토하는 인공유물과 자연유물을 중심으로 동삼동 패총인들의 생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형태는 수렵·채집·어로의 획득경제로 출발하여, 각 활동의 비중이 변화함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중기 이후부터는 유적의 성격이 변함에 따라 생업형태의 변화를 가지고 왔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조기에는 외양 성어업이 전기에는 외양성어업에 내만성어업이 추가된다. 중기부터는 어로활동이 가 장 활발하게 진행되며 그와 함께 육상동물을 대상으로 한 수렵활동이 활발해진다. 그 러나 동물유체의 출토 부위의 편중을 비롯해 고기(食)가 목적이 아닌 곰·호랑이 등 주술적인 요소와 수달·너구리 등 털이나 가죽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이 출토해 수렵 형태의 변화와 목적의 변화가 확인된다. 또 조개팔찌가 대량으로 출토되어 조개팔찌 의 생산이 활발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조개팔찌가 내륙지역이나 일본 구주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생산과 교류를 담당했던 유적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굴지구나 갈판과 갈돌이 많이 출토해 앞 시기에 비해 식물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경향 도 확인되었다. 후기부터는 중기에 성립된 생업형태가 지속되나, 출토 유물로 보면 전 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중기부터 출토하는 갈판·갈돌이 증가하 며, 굴지구로 판단되는 타제석부가 출토하는 것으로 보아 식물 채집 이나 농경 등 식 물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한층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은 수렵·어로·채집을 기본으로 하는 획득 경제 를 기반으로 시작하여 중기부터 생업에 의해 형성된 다른 유적들과는 달리 생산과 교 류의 중심지로 유적의 성격이 변화함에 따라 생계형태의 변화를 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well-known that Tongsamdong Shell-midden site represents not only the Neolithic Period of Korea but the whole East-North Asia. Geological location of the shell-midden is a continental shelf and Kurosio warm current and Riman cold current have composed boundary of water masses. Also the flora of the sub-tropical forest and the climate zone belongs to the monsoon temperate zone. All of environmental facts provide the best shell-midden location so that there are various archaeological sites remained. Tongsamdong shell-midden, therefore, had been made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the Neolithic and so the site has been valued as a good example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Neolithic people. This work then tried to detect life of the people who made the Tongsamdong shell-midden by inspecting artificial and natural artefacts and objects. Major occupation of the shell-midden people seemed to be the acquisition such as hunting, gathering and fishing. As time went by, it is likely that each action had been chang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ife occupation had been vari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te characters since the mid-term of the Period. Outer sea fishing had been popular during the very early stage while basin fishing were added during the former term afterwards. Since the middle term, the fishing industry had been reached the peak and the hunting were popular at the same time. However, it seemed that hunted animals were not for the edibleness but rather for the superstition (bear and tiger) or leather (raccoon or otter). In a way, this refers that the methods and the meaning of the hunting had been changed since.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amounts of the shell bracelets were founded here at Tongsamdong. Given that those bracelets are mainly discovered in the inland areas or Japan (Kyushu), Tongsamdong site was the dedicated place for the production and supply at that time. Also several agricultural tools and grinding stones proved that people depended on the plants more than previous period ever. The life occupation which were settled during the middle term seemed to be maintained until the later period, but when it comes to talk about the amounts of the artefacts, the numbers were less than ever. Grinding stones, however, were founded more than middle term and agricultural stone axes were also appealed. Therefore, people tended to depend more agriculture and plant cultivation than before. It is not too much to believe that people of Tongsamdong site had begun their life by acquisition (hunting, fishing and gathering) and then settled their life patterns as a production and supply centre which gave a big difference from any other Neolithic sit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동삼동 패총
Ⅲ.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종혁(Choi Jong Hyek). (2010).동삼동 패총인의 생업. 한국신석기연구, (18), 117-140

MLA

최종혁(Choi Jong Hyek).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 한국신석기연구, .18(2010): 11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