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삼동유적에서 확인된 환경변동의 흔적과 그 성격

이용수 862

영문명
On The Environment of Dongsam-dong Shell Midden and The Change of The Sea Level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이동주(Lee Dong Ju)(李東注)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8호, 43~93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삼동패총 주변 지역에서 확인된 선사시대의 환경변동에 관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관련 자료는 크게 3지점으로 구분되는데, 동삼동패총 상부 지점의 도로가 조성된 단애부(A지구)와 그 아래의 해안부(B지구), 그리고 패총 앞 해저지역(C지구) 이다. A지구의 경우, 신석기시대 문화층 상부에 형성된 역석층과 기저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역석층으로 구분된다. 이 중 하부 역석층은 동해안의 경주 봉길리 해안 일 대에서 확인되는 역석층이나 동해 기곡유적에서 확인되는 역석층과 해발 높이와 퇴적 양상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대연대는 기곡유적에서 125,000년 전으로 확 인된 바 있다. 이것은 약 125,000~130,000년 전 리스 빙하기가 끝나고 간빙기가 시작 되면서 일시적으로 기후가 급격히 온난해지는 과정에서 해수면이 약 10m 가량 상승 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현상은 구석기시대 전기 말의 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그리고 해안부 B지구의 조사에서는 해저 -1m~-2m 지점에서 많은 양의 고대목과 그루터기가 확인되었으며, 절대연대는 30,000B.P.~50,000B.P.로 확인되었다. 이 일대 해저에 넓게 삼림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A지구와 관련한다면 125,000 년 이래로 80,000년 이전까지 상승하였던 해수면이 점차 하강하면서 후기 구석기시대 인 뷔름빙하기까지 현재의 해수면보다 낮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해저지역인 C지구에서는 2개 지점에서 신석기시대 토기편이 확인되었으며, 해저 퇴적층 -9m 지점에서는 타제석기와 박편이 출토되었다. 뷔름 빙하기 당시 해수 면이 150m 가량 낮았다가 6,000 B.P.경 현 해수면 수준으로 상승하였다는 점에서 신 석기시대 해저 유적의 존재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A지구의 신석기 문화층 상층부의 해빈 역석층은 해발 8.3m 지점까지 확인되었지만, 이 시기 형성된 단구면의 최대 높이는 13m 가량으로 확인되어 당시의 해수면 7∼10m 가량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시기는 남해안지역 패총유적에서 나타 나는 현상과 관련하여 검토한 결과, 신석기시대 후기 단계의 봉계리식토기와 이중구 연토기 단계로 절대연대는 4,300~4,000 B.P.경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에 2차례의 극심 한 온난화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반월형석도나 도작농경이 북방지역으로 확산되는 등 동북아시아 전역에 걸쳐 문화변동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아 울러 우리나라 신석기-청동기 과도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하는데 중요 한 자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ongsam-dong Shell Midden recognized internationally is a representative site of the Korean Neolithic Era. In this whole region, many important archeological specimens o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prehistory were identified. So I d like to review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is area which have been confirmed till now. These data we could verify the environmental change of prehistory at Dongsamdong remains are divided into three big ranges. On the Dongsam-dong Shell Midden basis which is well-known, the upper side of it there is Marine Terrace(A Site) where the road is constructed and the lower side of it there is Coast(B Site), and the third part is Seabed Area(C Site) in front of it. The gravel layer(A Site) forming the base layer of the Shell Midden s lower part is near identical to that of Bonggil-ri coast or Gigok site in the East Sea with sea level and deposition. This absolute chronology dates back to Gigok site around 125,000 years ago. In my opinion, it was formed when Riss Glacial Period was moved to Interglacial approximately 125,000~130,000 years ago, the sea level had gone up by around 10m as the weather had been wormer sharply. This phenomenon could be one of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of the final stag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Paleolithic Era, and more it could be applicable on Periodic division of that. In the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astal site, it was discovered that ancient trees and stumps were found at the below 1∼2 meters under water, this absolute chronology was measured by 30,000 B.P.~50,000 B.P. According to the test excavation on the seabed of this period, the whole undersea area of Dongsam-dong Shell Midden was considered that the forest was crowded widel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 level was lower than what it has now. The earthen pots of the Neolithic Era have been identified at two places in this sea area(District C), also the chipped stone tool and flakes were excavated in point of seafloor sediment below 9 meters. In this regard, the sea level was around 150 meters lower in the Würm Glacial Period and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its sea level had risen to the present point in 6,000 B.P. we could expect the possibility on the presence of the Neolithic underwater remains. Finally, the higher gravel layer of A Site wa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Dongsam-dong Neolithic remains, approximate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actual height was up to maximum 10 meters around. It was regarded that the height of sea level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it. After reviewing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shell midden sites in the South Coast, this period could be determined to the later stages of the Neolithic Era, this absolute chronology could be determined to 4,300~4,000 B.P. During that time,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ere two severe global warming phenomena, even more half-moon Stone Blade and rice paddy cultivation were spread to the Northern areas. So it had been affected across cultures throughout Northeast Asia. In addition, it could be viewed as an important data to describe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the Neolithic - Bronze transition perio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동삼동패총과 주변지역의 조사내용
Ⅲ. 유적의 검토와 고찰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주(Lee Dong Ju)(李東注). (2010).동삼동유적에서 확인된 환경변동의 흔적과 그 성격. 한국신석기연구, (18), 43-93

MLA

이동주(Lee Dong Ju)(李東注). "동삼동유적에서 확인된 환경변동의 흔적과 그 성격." 한국신석기연구, .18(2010): 43-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