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기전 6-5천년기 한반도 남해안과 양쯔강 하류역의 생업 비교

이용수 239

영문명
Comparison of Neolithic Subsistence for Intial Chulmun in Southern Coast of Korea and Kuahuqiao-Humudu Culture in Lower Yangtz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안승모(Ahn, Sung-Mo)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27호, 1~56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1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반도 남해안에서 융기문토기 문화 주민이 바다자원을 집중적으로 활용하면서 정주생활로 들어서기 시작할 때 콰후차오-허무두 문화를 중심으로 한 양쯔강 하류역의 신석기시대주민들은 어떠한 생업 전략을 영위하였는지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양 지역 모두포유류, 어패류, 조류 등의 동물성 자원과 식물성 자원을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광범위 생업전 략을 선택하면서 자원 종류에 따라 집중적 획득 전략도 병행하였다. 양 지역 모두 수생, 수변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숲을 배경으로 한 입지에 취락을 형성하였다. 융기문토기 문화는 해양의 어패류를, 콰후차오-허무두 문화는 담수 환경과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어패류, 파충류, 벼-마름-연을 집중적으로 활용하였다. 두 문화 모두 참나무 중심의 숲에서 도토리를 채집하고 사 슴과 동물과 멧돼지를 집중적으로 사냥하였다. 도토리 저장혈도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양쯔강 유역은 남해안보다 생태계가 다양하여 자원의 종류도 많다. 특히 벼와 마름이 중요한 식물성 자원이 되고 벼의 재배화와 멧돼지의 가축화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생업은 여전히 야생자원에 의존하며 벼와 가축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compare the subsistence of Initial Chulmun (Yunggimun pottery) culture in southern Korea with that of Kuahuqiao-Hemudu culture in Lower Yangtze region during 6th~5th milleminum BC. Both adopted a broad-spectrum subsistenc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oraging activity such as gathering, fishing, and hunting. Although aquatic resources became important and dug-out canoes were made in both regions, Initial Chulmun culture mainly depended on marine resources including shellfish, sea fish, and marine mammals while Kuahuqiao-Hemudu culture was highly dependent upon wetland resources such as rice, water chestnut, fox nut as well as aquatic animals including freshwater fish and turtle. Acorns were intensively used as a starch or energy source for a lean winter season in both regions which supported by the presence of acorn storage pits. Deer and wild boar were main game in both regions though buffalo, rhinoceros and monkey were also hunted in Lower Yangtze region, The one large difference is that rice had been cultivated or harvested and pig had been raised in Lower Yangtze region, but not in southern Korea. No cultivated or domesticated plants and animals except dog had been exit in southern Korea. Although one impression of broomcorn millet from pot sherd in Dongsam-dong site has been reported recently, there still lacks reliable evidence for millet cultivation there during Initial Chulmun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콰후차오⋅허무두 문화의 생업
1. 텐뤄산(田螺山) 유적
2. 허무두(河姆渡) 유적
3. 콰후차오(跨湖橋) 유적
Ⅲ. 융기문토기 문화의 생업
1. 세죽 유적
2. 동삼동 패총
3. 비봉리 유적
4. 연대도 패총
5. 기타 유적
Ⅳ. 고찰
1. 환경적 배경
2. 생업유형
3. 안정동위원소 분석
4. 광범위 생업전략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승모(Ahn, Sung-Mo). (2014).서기전 6-5천년기 한반도 남해안과 양쯔강 하류역의 생업 비교. 한국신석기연구, (27), 1-56

MLA

안승모(Ahn, Sung-Mo). "서기전 6-5천년기 한반도 남해안과 양쯔강 하류역의 생업 비교." 한국신석기연구, .27(2014): 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