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특징과 변천

이용수 668

영문명
A study on the feature and temporal changes of building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of Goguryeo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용환(Yong Hwan Ch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3호, 143~18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 건물지는 그 동안 고구려 고고학에서 주요 연구대상이 아니었다. 일부 진행된 연구는 주로 유적의 성격과 시기를 중점으로 다뤘다. 특히 줄기초 건물지는 다른 건물지에 비해 인식이 더욱 부족하여 거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중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발굴보고서가 출간되어 자료가 급증하면서 건물지 자료도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고구려 건물지, 특히 줄기초 건물지의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미비한 연구를 극복하고자 고구려 건물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생활면의 위치와 기초 시설 등을 기준으로 형식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 건물지는 생활면의 위치에 따라 지하식과 지상식으로 나뉘고, 지상식은 다시 자연암반기초 건물지, 줄기초 건물지, 적심석기초 건물지, 굴립주 건물지, 무기초 건물지로 분류된다. 특히 줄기초 건물지는 고구려 건물지의 과반을 차지하여 고구려 건물지의 특징으로 파악된다.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는 축조 방식이나 공간적 분포가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확인된다. 축조 수법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규모 및 기초시설의 폭이 소형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공간적인 양상은 이른 시기에 중국 집안지역에서 만들어지다가 시기가 지나면 서 주변부, 특히 남한 아차산일대 보루군에서 중점적으로 축조되고 있다. 이러한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변화 양상은 위계의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된다. 건물지의 규모와 출토 유물 등을 분석했을 때, 이른 시기의 줄기초 건물지는 대형으로 축조되고 와당이 출토되는 반면 늦은 시기의 줄기초 건물지는 소형화되고 와당이 출토되지 않는다. 특히 규모의 변화는 건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된 노동력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위계와 직접적인 요소로 파악된다. 또한 고구려 건물지의 특징인 줄기초가 6세기 이후 백제 및 신라에서도 일부 확인된다. 고구려 이외 국가에서 확인되는 줄기초 건물지들이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와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나, 일부 축조수법에서 고구려적인 특징이 확인된다. 이러한 점은 고구려가 남하한 후 백제 및 신라에 고구려의 건축기술이 전해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remains of the building sites with continuous footing have not been a subject of main stream research in Goguryeo archaeology. Since the early 2000s, various excavation survey reports on Goguryeo sites, currently located on China’s territory, have been published and related dataset has increasingly accumulated. However, studies on the building sites, in particular with contiuous footing, have been limited.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tudy on such sites. In this paper, classification of Goguryeo building sites by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location of a living floor and daily living facilities, is proposed. The building types are divided into subterranean building sites and overground building sites, depending on location of a living floor. Overground building sites are subdivided based on types of their foundation as follows: one with natural stone foundations; one with contiuous footing one with stone foundations; one with wooden postholes; one without foundations. In particular, the one with contiuous footing type occupies more than half of the total building sites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building sites. Temporal changes of the building with contiuous footing of Goguryeo are identified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patial arrangement. As time passed, the size of the building and the intra width of living facilities became smaller. In addition, the earlier buildings with contiuous footing were constructed in China. Later, they had begun to be constructed at the peripheral area and ,in particular, were densely concentrated in the cluster of the Achasan mountain military posts in South Korea. Such changes are assumed to have resulted from the hierarchical change in the building sites. Considering the size of building and excavated goods, contiuous footing tended to have been used in the large buildings with roof tiles during the earlier phase whereas they were used in smaller buildings without roof tiles during the later phase. Given the fact that the size of buidling is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abour for construction, it directly indicates the hierarchy of the building. Lastly, the buildings with contiuous footing appeared after the sixth century AD in Baekje and Silla areas, but they are not identical with those of Goguryeo. However, some similar techniques for construction are detected,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architectural technology of Goguryeo was transmitted to Baekje and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 건물지의 축조방식과 줄기초
1. 고구려 건물지 분류
2. 줄기초 건물지의 특징
Ⅲ.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연대와 변천
1. 줄기초 건물지의 연대
2. 줄기초 건물지의 변천
Ⅳ.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사회문화적 의미
1.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 변천의 의미
2. 주변 국가에서 확인되는 줄기초 건물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환(Yong Hwan Cho). (2016).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특징과 변천. 한국상고사학보, (93), 143-180

MLA

조용환(Yong Hwan Cho). "고구려 줄기초 건물지의 특징과 변천." 한국상고사학보, .93(2016): 143-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