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동기시대 옹관묘의 전개양상
이용수 1874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Songgukri type jar coffin tomb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이명훈(Myung h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93호, 41~7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옹관묘는 송국리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된 분묘로서 금강중하류역에 집중 분포한다. 금강중하류역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확인되는 옹관묘의 약 65%가 밀집된 지역으로, 옹관으로 사용된 토기는 외반구연의 송국리형 토기가 대부분이다.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나면 인접한 호서지역에서도 옹관묘의 분포는 급격하게 감소한다. 옹관으로 사용된 토기 또한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나 심발형토기등 송국리형 토기가 아닌 것이 확인된다. 호남지역 역시 금강중하류역에 비해 옹관묘의 수가 극히 적
으며, 옹관으로 사용된 토기는 송국리형 토기가 아닌 것의 비율이 높다. 영남지역은 송국리형 옹관묘가 단 3기만 확인되어 송국리형 옹관묘의 영향력이 극히 미미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난 지역에서 외반구연의 송국리형 토기가 아닌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나 심발형토기가 옹관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는 점이다. 특히,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는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에서 주로 출토되는 점을 근거로, 이들 옹관묘의 축조시기를 송국리문화 이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송국리문화에서도 직립구연의 호형토기와 심발형토기는 상당수 확인된다. 그러므로 토기의 형태만으로 옹관묘의 축조시기를 결정하기보다 유적의 전반적인 양상을 고려하는 것이 옹관묘의 축조시기를 판단하는데 더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나 심발형토기가 옹관으로 사용된 유적의 양상은 대부분 송국리문화에 해당하며, 이들 유적은 대부분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난 호서지역이나 호남지역이다. 일반적으로 송국리문화는 금강중하류역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에 확산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 점을 고려한다면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나 심발형토기가 옹관으로 사용된 경우는 송
국리문화 이전이나 초현기보다 오히려 확산기로 볼 수 있다. 즉, 직립구연의 호형토기나 심발형토기가 옹관으로 사용된 경우는 외반구연의 송국리형 옹관묘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변형인 것이다. 이 변형의 옹관이 등장하는 원인은 재지문화에 의한 차별적인 수용으로 생각된다. 특히 옹관묘는 토기를 사용하여 시신을 매장한다는 이질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나면 급격하게 탈락되는 양상을 보인다. 간혹 수용되더라도 외반구연의 송국리형 토기를 사용하여야 된다는 제약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전형의 송국리형 토기를 사용하여야 된다는 제약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직립구연 호형토기나 심발형 토기를 옹관으로 사용한 것이다.
영문 초록
During the Bronze Age, jar coffin tombs closely rela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are densely concentr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65% of jar coffin tombs discover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re located in this region and a majority of pottery used as jar coffin is the Songgukri type pottery. Outside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even in Hoseo area where the river runs through, jar coffin tombs are occasionally discovered. Either an upright rimmed pottery or a deep bowl was used as a coffin rather than a very specific Songgukri type pottery. Compared with Hoseo area, there are relatively less jar coffin tombs in Honam area with a high proportion of non-Songgukri type potteries used as jar coffins. In Yeongnam area, only three jar coffin tombs of the Songgukri type were found. Thus the influence of the Songgukri culture was very limited in the area. Outside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it is noticeable that the an upright-rimmed pottery or a deep bowl, not a Songgkri type pottery with an outspread rim, for a coffin had increa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upright-rimmed potteries tend to be found in the elongated rectangular outlined dwelling pits in the preceded Early Bronze Age period, some scholars assumed that such jar coffin tombs were constructed before the period of the Songgukri culture. However, common use of potteries with upright rims or deep bowls during the Songgukri culture, rules out that assump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determination for the date of construction must be based on considering general contexts of
the sites rather than the sole analysis of the pottery shape and typological seriation. A majority of the upright-rimmed potteries or deep bowls as jar coffins are found in either Hoseo or Honam area, which are located outside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Given the accepted assumption that the Songgukri culture had spread to the adjacent
areas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the construction date for coffin jars with upright rims or deep bowl coffins could belong to the expansion phase rather than the early emergence phase of the Songgukri culture. Thus, these jar coffins were local variations while the Songgukri culture had been expanding. What caused such variations reflecting the selective adoption of the Songgukri culture by local people? Jar coffins using the original Songgukri type potteries to bury the deceased, are quite rare outside the mid reaches of the Geum River. Even if a mortuary
practice to use jar coffins had been adopted, it seems that there was no strict regulation to use the Songgukri type pottery only in this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옹관묘의 지역별 양상
1. 옹관의 주요 속성 검토
2. 지역별 양상
Ⅲ. 청동기시대 옹관묘의 전개
1. 청동기시대 옹관묘의 등장
2. 청동기시대 옹관묘의 전개
Ⅳ. 점토대토기단계 옹관묘와의 관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