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교육사회학 시론(試論)

이용수 35

영문명
An Essay on the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조발그니(Cho Balkeuni)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74호, 260~301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종교교육을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탐색하기 위한 학제 간 연구 시론이다. 필자는 종교교육이 사회적 성격을 지니는 것에 초점을 두고 종교교육을 사회과학으로서 연구하기 위해 종교교육사회학이 이론적으로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주요 연구 주제를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종교교육, 종교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종교교육사회학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즉 종교교육은 교회 안에서만 이뤄지거나 특정 시기나 장소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대사회적 성격을 지닌다. 종교사회학과 교육사회학의 연구방법을 비추어 볼 때 종교교육도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가 가능하다. 둘째, 종교교육학자들의 사회과학적 접근을 각 학자들의 주요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코우와 웨스터호프 3세는 종교교육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하느님의 민주주의와 문화화를 주장하였다. 무어는 사회화를 주장하는 다른 학자들에 비해 종교교육의 사회변혁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그룸은 종교교육의 사회적 활동을 강조하면서 함께 나누는 그리스도인의 프락시스를 제안하였다. 넬슨은 종교교육이 전달에 초점을 두는 인류학적 관점에서 종교교육의 전달자이며 전수자인 회중을 고찰하였다. 셋째, 종교교육사회학이 학문으로서 가능한 연구영역인지 제안하기 위해 종교교육사회학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종교교육과 도덕의 관계는 종교의 사회적 역할을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종교교육과 도덕의 관계성을 보다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종교교육과 도덕 사이 제3의 변수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였다. 입시와 학부모 문제에서는 학력, 대리만족, 오인을 문제의 원인으로 설명하고 입시에 관련된 종교교육의 역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또한 종교교육 내용이 어떤 맥락에서 이뤄진 것인지 살펴보는 것으로 종교교육과 사회적 맥락의 관계를 파악하는 교육과정 연구가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종교교육이 상호작용의 과정임에 초점을 두고 질적 연구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본고는 시론이다. 따라서 사변적일 수 있다. 그럼에도 종교교육 영역에서 학제 간 연구의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뤄져 종교교육사회학이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학문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examining Religious Education employs a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This social scientific approach proposes that certain subjects are suitable topics for religious education. The claims set ou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n examination of religious education, sociology of religion and educational sociology, it is claimed that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is an important discipline. The achievements of religious education transcend not only church boundaries, but also the restrictions of period and place and demonstrate positive social characteristics. In light of our study employing methodologies adopted from the disciplines of Sociology of Religion and Sociology of Education, we can conclude that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certainly can be studied using the methodologies of social science. Second, we investigated how certain scholars of religion have attempted to adapt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in their work. Coe and Westerhoff III approached the study of religious education by emphasizing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 and the concepts of the democracy of God and enculturation. In comparison, Moore emphasized the social transformative character of religious education. Groome highlighted shared Christian praxis and social activism as central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education. Nelson investigated religious education from a cultural anthropological stand point looking at delivery and initi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congregations. Third, our study looked at possible research topics suitable for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One such area is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morality and religion’s subsequent role within society. But here a third variable, between religious education and morality, presents itself for investigation: taking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nd parents of students as dependant variables,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may be employed to explain some of the causes of problems such as academic career, alternate satisfaction and misconceptions, and suggest possible roles for Religious Education to play in relation to these problems. In connection with academic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religious education there exists a link to context. As a result of this link,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religious education and social context is required. And finally, a proposal suggesting the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interactions in the sphere of Religious Education is put forward. This essay on the Sociology of Religious Education is of necessity speculative. However, it has attempte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tudy of Religious Education. Furthermore, its author has endeavored to remain independent and professional in his approach to the topic at hand.

목차

서론
Ⅰ. 종교교육, 종교사회학, 교육사회학, 종교교육사회학
Ⅱ. 종교교육의 사회과학적 접근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Ⅲ. 종교교육사회학의 관심 주제들
결론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발그니(Cho Balkeuni). (2014).종교교육사회학 시론(試論).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4), 260-301

MLA

조발그니(Cho Balkeuni). "종교교육사회학 시론(試論)."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4(2014): 260-3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