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쿰란 사본의 종말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1

영문명
Research on the Eschatology of Qumran Manuscripts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송창현(Song Chang hyun)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74호, 190~228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쿰란 사본의 종말론에 관한 고찰이다. 종말론이란 “마지막 일들 혹은 마지막 시간”에 관한 연구를 의미한다. 특히 쿰란에 살았던 에세네파는 자신들이 마지막 날들, 곧 세계 역사의 마지막 시기를 살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쿰란의 많은 비성경적 사본에 종말론적 특징이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에세네파는 마지막 날들, 즉 역사의 종말 직전의 시기를 살았던 종말론적 운동이었다. 이 마지막 날들은 벨리아르의 세력이 의인을 이기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는 때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와 동시에 빛의 자녀들이 승리할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마지막 날들의 특징 중 하나는 메시아의 도래다. 그런데 하나의 메시아가 아니라 복수인 메시아들의 도래다. 쿰란의 두-메시아 사상은 마지막 날에 사제적 메시아와 왕적 메시아의 도래를 기대한다. 공동체의 희망은 이스라엘 사회의 변혁에 대한 비전을 의미한다. 이스라엘과 이방인, 혹은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 사이의 마지막 전쟁에 대한 대망은 위험한 시기를 살고 있던 에세네파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을 것이다. 마지막 전투에서 하느님이 승리하고 어둠의 자녀들은 멸망한다. 새 예루살렘 문헌은 명백하게 종말론적 예루살렘과 성전을 다룬다. 우리는 제2성전 유다이즘 당시 부활의 희망을 보여 주는 예들인 4Q521과 4Q385를 가지고 있다. 요세푸스는 바리사이파와 에세네파가 “영혼 불멸”을 강하게 옹호했다고 기록한다. 히폴리투스의 병행하는 보도가 드러내는 것처럼, 요세푸스의 기록은 아마도 죽은 이들의 부활을 위한 헬레니즘화된 표현일 것이다. 부활은 세상을 죄와 죽음의 혼란스런 악순환에 빠지도록 하지 않고, 죽음이라는 마지막 원수로부터 창조 세계를 구원하려는 하느님의 정의를 선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chatology of Qumran Manuscripts. The term eschatology means the “study of the last things or end times”. The Essenes, especially those who lived at Qumran, believed they were living at the end of days, in the final age of world history. So it is no surprise that eschatology features in many of the nonbiblical texts at Qumran. The Essens were an eschatological movement, living in the end of days, the period just before the cataclysmic end to history. These days would have a negative side, a time of testing when the forces of Belial redoubled their efforts to defeat the righteous, and a positive side, the Sons of Light would be victorious. One of the recurring features of the “end of days” is that it is marked by the coming of messiahs. There would be, not one Messiah, but two. Qumran’s diarchal messianism envisions the advent of both priestly and royal Messiahs in the latter days. The hopes of the community entailed a vision of a transformation of Israelite society. The expectation of a final war between Israel and the Gentiles or between the Sons of Light and the Sons of Darkness may have given the Essenes hope and courage in their hour of danger. In the final battle, the hand of God prevails and the Sons of Darkness are destroyed. The New Jerusalem Text clearly deal with the eschatological Jerusalem and its Temple. We have 4Q521 and 4Q385, two examples of the flourishing of resurrection hope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Josephus reports that both Pharisees and Essenes held strong support fo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is is probably a Hellenized expression for resurrection of the dead, as comparison with Hippolytus’s parallel accounts reveals. The resurrection proclaims the righteousness of a God who will not allow the world to spiral forever into the chaos of sin and death but who will redeem the creation even from the final enemy of death.

목차

머리말
1. 쿰란에서의 역사와 종말
2. 메시아 사상
3. 종말론적 전쟁
4. 새 예루살렘
5. 부활 사상
맺음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창현(Song Chang hyun). (2014).쿰란 사본의 종말론에 관한 연구.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4), 190-228

MLA

송창현(Song Chang hyun). "쿰란 사본의 종말론에 관한 연구."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4(2014): 190-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