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명의 원리에서 인격의 중심에로

이용수 332

영문명
From ‘Principle of Life’ to ‘Center of Persona’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박승찬(Park Seung chan)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7호, 59~157쪽, 전체 9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14,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혼’이라는 개념이 종교와 관련된 맥락에서는 물론, 철학과 일상생활 등에서 여전히 자주 사용되는 현실 속에서 이에 대한 명확한 규명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더욱이 데카르트 이후 이원적인 사고가 야기한 다양한 부작용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분리 이전의 통합적인 인간 이해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론적인 관점에 치우친 현대 심신문제(Mind-Body-Problem)의 틀을 넘어서서 고전적인 영혼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대의 논의들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대표적인 유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초기 그리스 사상에서 나타났던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론은 여러 가능성들을 그 안에 함축하고 있었지만, 아직 인간의 고유함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했고 많은 부분이 애매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제Ⅰ장). 데모크리토스 이후에 나타난 물질적인 영혼관(스토아 및 에피쿠로스학파, 근대의 유물론, 현대의 부수현상론 등)은 인간의 정신적인 측면을 완전히 부인하거나 기껏해야 물질의 부산물로 보기 때문에 단편적이고 편협한 측면을 드러냈다(제Ⅱ장). 플라톤과 그의 추종자들(신플라톤주의, 아우구스티누스 등)은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관심때문에 영혼이 독립된 실체임을 강조하고 이를 인간 전체와 동일시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원론의 입장은 ‘육체와 영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질문을 피할 수 없으며 근본적인 인간의 통일성을 위협할 수 있고, 데카르트 이후의 사상가들에게서처럼 극단적인 입장으로 변형됨으로써 현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제Ⅲ장). 이런 경향들을 고려할 때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통합적인 인간관과 이와 관련된 영혼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문제 해결의 틀을 제시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질료형상론을 토대로 영혼과 육체라는 두 원리가 함께 협동해서 비로소 인간이라는 단일의 완전 실체를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영혼과 육체의 단일성을 강조하면서도 인간에게 고유한 지성을 영혼으로부터 구별했다. 바로 이 지성과 육체의 형상인 영혼의 관계가 명확하게 규정되지 못함으로써 이후에 많은 혼란(아베로에스주의 등)이 나타났다(제Ⅳ장). 본 논문의 마지막 고찰 대상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중세 초기부터 강력한 영향을 미쳤던 플라톤-아우구스티누스적 이원론을 따르는 영혼관을, 영혼과 육체의 합일을 강조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을 따름으로써 극복하였다. 그렇지만 토마스는 전통적인 입장을 수용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서 인간 영혼이 개별 인간의 ‘유일한’ 실체적 형상임을 강조하고, 인간이 죽은 후에도 개별적 인간 영혼이 존속함과 그 불완전성을 동시에 주장했다(제Ⅴ장). 사실상 이는 온전히 새로운 인간관이 아니라, 성서에 함축적으로 나타나 있지만, 그 이전까지 충분히 강조되지 못했던 그리스도교의 통합적인 인간 이해다. 그러나 이런 인간 이해는 인간이 자신을 동일한 인간으로 체험하며 이러한 존재로서 윤리적으로 자신의 행위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필자는 이러한 영혼론 안에서 현대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문제들의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인격의 고유성과 소중함을 지킬 수 있는 틀이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성찰을 토대로 현대의 마음 열린 학자들과 대화함으로써 자연과학적인 연구 결과들을 포용하면서도 인격체로서의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고의 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Soul’(anima) is very often used not only in religious context but also in philosophy and everyday life, and therefore the clarification of this concep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question ‘what is a Man’. Moreover, to solve the side-effects, which is caused by the Cartesian dualism, we need to consider the synthetical understanding humanity before the dualistic consideration. In this paper I examine the representative types of classical theories about soul, which can present a new point of view about a modern discussion on the contemporary Mind-Body Problem leaned toward the epistemology. The theory about soul as the ‘principle of life’ in Early ancient Greek was implicated many possibilities, but was not sufficient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humans and remained ambiguously(Ch.1). The materialistic theory about Soul after Democritus(Stoicism & Epicurean school, Modern Materialists contemporary Epiphenomenalism) denied the intellectual side of humans or considered as a by-product of matter, and therefore it was fragmental and narrow-minded(Ch.2). Plato and his followers(Neoplatonism, Augustine etc.) emphasized because of their ethical and moral interests soul as the subsistential substance and identified it with man as such. Nevertheless, such position of dualism cannot get away from the question about the soul’s relation to the body and can threaten the essential unity of Human person. As it was transformed radically as the thinkers after Descartes, it brought many problems, which has influenced up to date(Ch.3). Considering these tendencies, the synthetic understanding humanity and the role of soul represented by Aristotle gives the important frame of resolving the problems. On the basis of his own Hylomorphism, Aristotle asserted that the unique complete substance as a man is formed in cooperation of both principles of soul and body. Although he insisted ‘unity of soul and body’, he differentiated the ‘intellect’ indigenous to human beings from the human soul.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 and soul as a substantial form of body was not explained clearly enough, great confusions prevailed for a long time(Ch.4). At last, Thomas Aquinas overcome the dualism of Plato and Augustine by following of position of Aristotle. But Thomas was not satisfied with the reception of traditional theories, but asserted that a human soul is the ‘unique’ substantial form and after a death, the soul could exist independently of the body, although the soul by itself did not constitute a person(Ch.5). In fact, this is not totally new understanding humans, but Christian holistic understanding, which is implied in the Holy Bible, but till then not sufficiently stressed. But such understanding humans has the advantage that by it a man can experience oneself as one and same person and have the autonomy to decide his act ethically. I think that in such theory about soul the paradigm can be shown to protect the characteristic and dignity of a individual person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which are hotly debated in the present age.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can discuss with the modern, open-minded scholars and find the new paradigm which includes the newly scientific results and at the same time can help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more completely.

목차

머리말
Ⅰ. 고대 그리스 사상에 나타난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
Ⅱ. 물질적 영혼 개념(그리스 고대 사상 및 유물론자들)
Ⅲ. 독립된 실체로서의 영혼(플라톤, 아우구스티누스)
Ⅳ. 육체의 실체적 형상인 영혼(아리스토텔레스)
Ⅴ. 인격의 중심을 이루는 영혼의 자립성(토마스 아퀴나스)
맺음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승찬(Park Seung chan). (2011).생명의 원리에서 인격의 중심에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7), 59-157

MLA

박승찬(Park Seung chan). "생명의 원리에서 인격의 중심에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7(2011): 5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