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이용수 266

영문명
Three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정승석(Jung Seung suk)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7호, 164~196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이나의 물활론에서 말하는 ‘속박된 영혼’은 흔히 말하는 영혼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으로 대변한다. 그리고 상키야 철학에서 말하는 통각은 ‘속박된 영혼’에 포섭된다. 또한 이 통각은 우파니샤드의 5장설로 말하면, 넷째인 ‘식별로 이루어지는 아트만’과 동격이다. 한편 ‘해탈한 영혼’이라는 관념은 우파니샤드와 자이나와 상키야의 영혼관에서 궁극의 이상으로 표방한 공통분모에 해당한다. 이점에서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는 인도 철학의 영혼관이 표방하는 공통의 이념을 대변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범아일여의 영혼관은 브라만과 아트만의 동일화로 인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범아일여의 일원론에 의하면, ‘최상의 정신적 실체’(브라만)는 마음에 내재하여 ‘의식의 최고 원리’(영혼)가 된다. 그래서 이 둘은 동일하고 ‘자신의 진실한 존재’이다. 그러나 상키야 철학에서는 이러한 동일화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 마음에 내재하여 의식의 형태로 있는 영혼이라면, 이런 영혼은 마음 또는 의식의 속성과 절연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상키야의 이원론에서는, 의식의 형태로 있는 것이라면 이것도 모두 무지라는 불순한 속성을 지닌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영혼이 의식의 형태로 내재한다는 것은 인식 기관으로서 또는 인식기관 속에 존재한다는 것과 같다. 인식 기관은 순수한 속성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기존의 영혼 개념은 이 같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자이나의 영혼관은 해탈한 영혼과 속박된 영혼을 특별히 양분하므로, 업 물질이 제거되어 해탈한 영혼은 인식 기관을 초월한 영혼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업 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지 않고 감각의 숫자로 등급이 차별되는 속박된 영혼은 애초부터 불순한 속성을 지닌 것으로 전제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e fettered soul explained in the hylozoism of Jaina philosophy is broadly and commonly used to represent the concept of the soul. And the concept of the buddhi(intellect), one of main principles of S?m?khya philosophy, can be included into the concept of the fettered soul. In addition, this buddhi can also be identified with the ?tman(self or soul) ‘consisting of understanding’ (vijn?na-maya) that is the fourth among the five states of ?tman explained in Upanis?a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released soul, which functions as a reciprocal doctrine among the philosophies of Upanis?ad, Jainism, and S?m?khya, is the ultimate ideal. At this point, the oneness of Brahman and ?tman could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common ideology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concept of soul such as the oneness of Brahman and ?tman because Brahman is undeniably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tman. According to the monism revealed as the oneness of Brahman and ?tman, Brahman, or the ultimate spiritual substance is inherent in the human mind and becomes the ‘supreme principle of consciousness’(soul). These two, thus, are the same and constitute the ‘tru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self’.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S?m?khya, however, this unified identification is inconsequential or irrational since the soul inherent in the mind is an aspect of consciousness. Therefore, such a soul can never separated from the mind or the properties of consciousness. Specifically, according to dualism of S?m?khya philosophy, whatever things existing as an aspect of consciousness are regarded as a kind of ignorance with impure properties. Moreover, the soul inherent in us as an aspect of consciousness means that it exists as a kind of cognitive organ, or exists within the cognitive organs. In this case, cognitive organs cannot be composed of only pure prosperities. Therefore, the existing concept of the soul, just as the concept of the oneness between Brahman and ?tman, cannot be free from this kind of limitations. The concept of the soul in Jainism is made up of a dichotomy between the released soul and the fettered soul, where the released soul has been totally removed from karmic matter and has transcended cognitive organs. In contrast, the fettered soul, which is unable to block the flow of karmic matter and classified by numbers of sense, is on the premise that it has impure properties from the first.

목차

1. 머리말
2. 일원론의 관점
3. 물활론의 관점
4. 이원론의 관점
5. 맺음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승석(Jung Seung suk). (2011).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7), 164-196

MLA

정승석(Jung Seung suk).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7(2011): 164-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