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춘향가」의 사건유일성에 관한 고찰 - 광한루의 ‘만남’사건을 중심으로 -

이용수 161

영문명
Study on the case uniqueness of Pansori 「Chunhyangga」 - Centered ‘Meeting’ -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박정아(Park Jeong Ah)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1집, 169~1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학작품의 시공간이 공시적 시각과 통시적 시각의 교차점에서 분석 및 해석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모든 작품에는 사건이 있으며 사건에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물이라는 요소가 존재한다. 지금까지의 문학작품의 연구는 사건과 공간, 인물을 개별적인 요소로 분석하는 성향이 강해 이들을 통합적 시선에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부족했다. 시공간에 대한 통합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해석은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사건의 특수성과 유일성을 고찰할 수 있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의 시공간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판소리 「춘향가」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시공간적 유일성을 해석하는 방법론으로 바흐친의 ‘크로노토프’에 관한 이론을 차용하고자 한다. 판소리의 경우 작가의 부재와 관용적 표현 등 비기록문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흐친 이론이 설명하는 실제와는 차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분명한 서사와 사건이 내제되어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결합으로 인한 결과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석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판소리 「춘향가」의 사건들 중 그 시작점에 위치하는 주요 인물들의 ‘만남’이라는 행위를 중심으로 시공간성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춘향과 이도령의 만남이 보여주는 시공간적인 의미와 그 의미의 해석방향에 대한 고민을 통해 시공간의 사회적 의미와 개인적 의미를 도출하고 당대인들의 인식을 이해하여 작품의 특이성을 찾는데 주력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got to start by recognizing that the world of space and time in the literary works would be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spatial view and diachronic view. In all the literary works, there are events, in which the elements of time, space, and characters are exist. Until now, the studies on literary works have recognized these time, space, and characters only as the individual elements, but the approach to the integrated view has not been carried out. With the integrated awareness on the world of space and time, analyzing the works would be an important cornerstone to study the distinctiveness and uniqueness of events that they have. In this stud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which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have in literary works, the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uniqueness of Pansori 「Chunhyangga」 is going to be attempted. As a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spatiotemporal uniqueness, the theory on Bakhtin’s ‘Chronotope’ will be borrowed. In the case of Pansori, the non-documentary literary characteristics, such as absence of writer, idiomatic expressions, etc., could have the difference from the reality the Bakhtin’s theory explains, but because the obvious description and events exist and it has the output due to the combination of time and space, I think that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remains open. To progress the research, of the events of Pansori 「Chunhyangga」, the spatiotemporal character is going to be discussed centered the behavior of main characters’ ‘meeting’, located in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e agony on the spatiotemporal meanings which the meeting of Chunhyang and Yi doryeong shows and those interpretational direction, I would try to concentrate on that the spatiotemporal social- and personal-implications would be drawn, the recognition of contemporary people w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space, and the specificity of work would be found.

목차

초록
1. 들어가며
2. 판소리의 크로노토프적 접근 가능성
3. 광한루의 시공간적 특이성과 만남의 당위성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아(Park Jeong Ah). (2016).판소리 「춘향가」의 사건유일성에 관한 고찰 - 광한루의 ‘만남’사건을 중심으로 -. 동남어문논집, 41 , 169-188

MLA

박정아(Park Jeong Ah). "판소리 「춘향가」의 사건유일성에 관한 고찰 - 광한루의 ‘만남’사건을 중심으로 -." 동남어문논집, 41.(2016): 16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