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성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및 체계 제안

이용수 208

영문명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afety Community Projects Utilizing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the System Proposal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허보영(Heo Bo Young) 박소순(Park So Soon)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215~22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연재난과 생활안전사고를 포함한 안전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정부 주도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서비스나 안전정보를 일방적으로 국민에게 제공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대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주도의 형식에서 벗어나 시민참여 활성화의 일환으로 주민 참여형 정책과 안전개선사업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재난안전에 대한 체감도와 사업의 필요성 및 참여의향 등 주민체감 효과를 객관적·통계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20개소에 거주하는 주민 1,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안전체감도, 세부사업의 필요성 및 참여의향, 주민공동체 방재역량(재해위험인지 상태, 피난유도 능력, 자주피난대비 정도, 재난안전 공동체 활동 및 주민참여정도, 감시경계 태세, 정보전달 태세) 등의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의 효과분석 항목과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본 사업뿐만 아니라 유사사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s interest in overall safety issue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and living safety accidents is rising, prepar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problem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Up to the present, mostly the government-initiated safety 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system is such that safety service or safety information is provided unilaterally for the people. However, as questions as to its effectiveness are raised, demand for preparation of diverse forms of alternatives is increasing. Recently, breaking away from the government-led forms, the resident participation types of policies and safety improvement projects are attempted as part of the vit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objectively and statist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idents’feeling effects such as feeling degree about the safety against disasters in the residential regions, the necessity of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has been raised.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277 residents living in 20 places of the 2015 safety community projects, the effects of the projects such as the safety feeling degree of the residents of the applicable regions, the necessity of the detailed project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resident communities’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disaster risk awareness state, evacuation guidance abilities, the degree of autonomous preparation for evacuation, disaster and safety community activities, the degree of residents’participation, surveillance and security readiness, information delivery readines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items and the system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 community building projects were propos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tilized not only in these projects but also similar project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체계 제안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보영(Heo Bo Young),박소순(Park So Soon). (2016).정성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및 체계 제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 (2), 215-222

MLA

허보영(Heo Bo Young),박소순(Park So Soon). "정성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및 체계 제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2(2016): 215-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