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해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적용 방안

이용수 332

영문명
Building and Applying Scheme of Big Data for Enhancement of Hazard Map Utilization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임현택(Lim Hyun taek) 배상영(Bae Sang young) 심규성(Sim Gyoo seong) 김정수(Kim Jung soo) 박성용(Park Sung yong) 김용성(Kim Yong seong)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205~21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풍, 호우, 해일 등의 재해발생 시, 침수피해 기록 및 재난정보와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지방자체단체 등에서는 재해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재해지도는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재해정보지도로 분류되며 침수심, 침수범위, 침수시간, 대피소 정보, 대피경로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재해지도의 도면정보는 재해발생 후의 정보를 단순히 기록하고 보여줌으로써, 그 효용가치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군구 단위로 이루어지는 재난정보도 작은 단위의 국지성 침수 등의 피해를 대비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부가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지도 작성 현황과 활용 사례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고 재해지도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구축체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활용하여 개선된 재해지도를 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재해지도는 침수위험에 대한 다양한 분석정보를 공간정보 기반에서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 hazard map was created to record the flood damage and provide the evacuation routes and disaster information by local government when the disaster such as typhoon, heavy rain, tsunami would be occurred. This map was classified as hazard information map, flood prediction map, and inundation trace map. Also, it was provided the hazard information and such as depth, range, and time of inundation and the evacuation information such as shelter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s. However, the utility value of hazard map have not lived up to expectation because information of that map was simply recorded inundation range after flooding occurrence. Also, hazard information by local government was limited on preparation of the massive damage by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t the additional data for more various and detailed information provision.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disaster map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analyzed mapping method and application cases of hazard map by local government. The big data analysis system was constructed to link the hazard map and to provide the disaster information. The improved hazard map was expected to be able to express effectively the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on the spatial information.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재해지도 정보의 활용 현황 및 문제점
3. 재해지도 연계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4. 재해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빅데이터 적용 방안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현택(Lim Hyun taek),배상영(Bae Sang young),심규성(Sim Gyoo seong),김정수(Kim Jung soo),박성용(Park Sung yong),김용성(Kim Yong seong). (2016).재해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적용 방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 (2), 205-213

MLA

임현택(Lim Hyun taek),배상영(Bae Sang young),심규성(Sim Gyoo seong),김정수(Kim Jung soo),박성용(Park Sung yong),김용성(Kim Yong seong). "재해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적용 방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2(2016): 20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