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호작용이 고려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래 최심신적설 빈도 분석
이용수 366
- 영문명
- Frequency Analysis of Future Maximum Fresh Snow Depth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희성(Park Hee seong) 정상만(Jeong Sang man) 정건희(Gun hui Ch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369~37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겨울철 자연재해 중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하는 대설에 의한 인명과 재산피해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국의 최심신적설량의 분포 및 미래 변화 경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00년 제어적분을 적용한 RCP 2.6, 4.5, 6.0, 8.5 시나리오 기반의 한반도 전망자료에 따른 미래 최심신적설량의 빈도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강수량,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을 독립변수로 이용하였으며, 강수량과 일평균기온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두 변수의 곱을 포함하는 항을 추가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전국 74개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10년, 30년, 50년, 100년 빈도별 최심신적설량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중선형회귀모형에 비해 상호작용을 고려한 다중회귀 모형의 예측력이 훨씬 우수하였다. 계산된 결과의 빈도별 최심신적설량이 미래에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였지만, 큰 변화는 없었으며, 특히 신적설량이 많은 지역의 분포가 동일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각 관측소별 절대적인 값의 변화보다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최심신적설량의 변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강수량과 기온이 정확하게 예측된다면 최심신적설량도 매우 합리적으로 예측이 가능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the frequency of snowfall inducing life loss and property damages increases, many researches to calculate future maximum fresh snow depth and trend have been implemented. In this study, 400-year pre-industrial climate control simulated RCP 2.6, 4.5, 6.0, 8.5 climate change scenario for Korean Peninsula was applied to develop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future probable maximum fresh snow depth. Precipitation, minimum,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ultiplication of precipitation and average temperature was inserted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otal 74 gauging stations data was applied to varify the developed model. The calculated probable maximum fresh snow depths for 10, 30, 50, and 100 years were compared. The model efficiency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interaction was superior to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probable maximum fresh snow depth tend to decrease ove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ithout the significant chang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ocations with highest maximum fresh snow depths remains the same. The results shows the overall variation trend rather than the exact snow depth. Using the developed model, the maximum fresh snow depth could be calculated using th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s if the input variables are predicted accurately.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다중회귀분석
3. 기상자료 수집
4. 확률최심신적설량 빈도 해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추계학적 강우모형을 이용한 한강유역에 강우사상의 구조적인 변동 특성 분석
- 원자력발전소의 비상냉각수 주입을 위한 초고압 펌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HEC-RAS 및 HEC-6를 이용한 낙차공 평가 및 제방설계 방안
-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피해규모 자동산정시스템 개발 연구
- 연안도시 홍수 취약성 평가관리시스템 프레임 구축
- 풍수해보험 요율차등화를 위한 지역안전도 활용방안
- 대설피해에 따른 방재취약성 분석 및 대응대책 방안
- 연안지역 홍수피해자료 분석을 통한 홍수취약성 평가
- 회귀분석을 이용한 대설에 따른 강원지역의 피해액 예측모델 개발
-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이슬점온도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 고온을 받은 실대형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화재손상 평가
- 아파트 화재진압용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돌발 상황 대응 단계에서의 피해복구 자원 활용계획 수립 시스템 개발
- 하천평가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하천 치수안정도 평가 및 낙동강수계 하천정비사업 효과 분석
- 미래기후예측모형에 따른 가뭄전망 결과 비교
- 재난약자의 피난안전을 위한 화재사례분석 및 노인요양시설 소방안전관리 실태조사
- 대구경 현장타설 말뚝(CISS Pile) 기초 - RC교각 연결부의 휨 강도 향상 방안에 대한 해석·실험적 평가
- 장대레일 궤도의 비선형 해석 모델 개발
- 진동 저감을 위한 프리캐스트 플로팅 궤도 시스템의 최적 설계 물성치 산정
- 철도터널 화재시 제연풍속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적 연구
- Hack의 법칙과 소하천의 지형학적 특성분석
-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통한 국내 홍수피해 통계 수준평가
- 명암 묘사 균열과 실제 균열의 촬영 조건에 따른 명암적 유사성 분석
- 지수평가기법을 적용한 태풍 산바의 낙동강 유역에 미친 피해특성 분석
- 하천유역의 물 관리를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 이수와 치수 중심으로
- 프리캐스트 플로팅궤도가 적용된 선하역사의 진동 저감 특성 분석
- 주택화재에서 실내벽지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연성파괴 유도를 위한 RC 슬래브의 휨 보강 한계
- 상호작용이 고려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래 최심신적설 빈도 분석
- AHP기법을 활용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 기능 개발 우선순위 선정 및 시스템 설계
- 철도역사 진동 저감을 위한 승강장의 동조질량감쇠기화 기법 개발
- 고무차륜 AGT 주행로의 제작방식별 시공정밀도 평가를 위한 차상진동가속도 분석
- ETAG 27을 이용한 100 kJ 낙석충돌에너지 낙석방지울타리 성능평가
- 모바일 간편결제의 속성과 사용의도 : 비사용자를 중심으로
- 호우특보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중·소규모 도시하천 설계홍수량 추정식 산정에 관한 연구
- 풍수해 예방사업 투자우선순위에 관한 개선방안
- 정성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및 체계 제안
- 지반가열공법의 열전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세월호 침몰사고 사례 분석을 통한 갑판소집 허용한계대피시간의 설정 연구
- SWMM을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저감 시설의 모의 방법
- 대규모 우수관수로 내 공기의 압력을 고려한 수치해석 및 Geyser에 대한 영향인자 도출
- 크리프 거동이 다른 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물 압축부의 시간에 따른 응력 변화
- SCS-CN 방법을 연계한 토사유출량 산정방법 평가
- 재해지도 활용성 증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 및 적용 방안
- 하천 유역 비점오염 관리 방안 연구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방재성능목표설정방안연구
- 풍화토 종류와 사면파괴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에 대한 연구
- 난연제와 실리콘 화합물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용 내화보드의 열 특성 비교 연구
- 개선된 배근 상세를 갖는 커플링 보에 관한 해석 연구
- 벽난로 화재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토사재해 발생시 인적피해를 유발하는 한계수심 및 한계유속에 관한 연구
- 설계안전율을 고려한 재실자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빗물저류조의 개발과 구조 성능 평가
- 침수흔적도 작성 방법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적용 연구
- 중규모 터널의 국부 연기확산 차·지연 설비의 적용성 연구
-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지역기후모형이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에 미치는 영향
- 홍수피해자료 분석방법 비교에 의한 홍수취약성지수 산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디지털 전환을 통한 패션산업의 환경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 코로나19 전후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