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주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와 동아시아 선사고대미술로 본 기록문화

이용수 474

영문명
Written and pictorial culture seen through line engravings of Ulju Cheonjeonri Gakseok and East Asian prehistoric art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전호태(HoTae Je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7輯,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천전리 각석 세선각화는 각석 상부 전면에 점각 기법으로 다수의 동물이 표현되고, 그위에 기하문 도형들이 긋고 갈기 수법으로 깊게 새겨진 뒤 등장한 세 번째 단계의 암각작품이다. 명문과의선후관계가명확하지않으나일부중첩을고려하더라도상대적으로앞선시기부터 세선각화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천전리 각석 하부에 세선각으로 묘사된 것은사슴, 말, 새등의 짐승과 남녀 인물이나 기마인물 등 사람, 여러 척의 배, 상상 속의 신수인 용등다양하다. 사람과 말의 행렬 가운데 일부는 명문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도 있을 듯하다.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유적, 유물에 등장하는 선각화는 문자문화의 정착과 확산 이전에통용되던 그림 기록으로 볼 수있다. 선사 및 고대유적, 유물에 다수의 선각화를 남긴 일본에서도 그림은 문자 기록 이전의 기록 수단이었다고 할 수있다. 문자기록의 발달과 확산이 빨랐던 중국의 경우, 다양한 도상을 담은 청동기에 금문이 새겨지는데, 금문이 많아지면서 도상이 줄어드는 경향을보인다. 이것은 도상이 지닌기록으로서의 기능이 문자로 옮겨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문화가 지배적이었던 내륙아시아 지역에서 중세 후기까지 암각화 작업이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기록 수단으로서 그림의 기능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세선각화의 제재로 등장하는 용은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 작업이 종교적, 주술적 효과를염두에 둔 그림 기록일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문자기록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기록의 주술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신라인의 관념과 신앙이 세선각화 작업에 동력을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는 신라 기록문화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귀중한 유적 자료로 재인식,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Cheonjeonri Gakseok line engraving is a three-layered work displaying multiple animalsin dot engravings on the whole of the upper surface and geometric patterns engraved ingrinding method on the overall surface. Although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theimages and the engraved text is unclear, some overlaps suggest that the line engravingsbegan in relatively early period.The subject matter of figures adorning the bottom of the surface is diverse, ranging fromanimals such as deer, horse, and bird to men, women, figures on horseback, number of ships,and dragon. Some of the human figures and horses may be linked to the engraved text.The line engravings that appear in prehistoric and historic Korean sites and artifacts canbe understood as the pictorial record used before the advent of written language. In Chinawhere written text was developed and popularized from early period, text is engraved onbronzeware with various images. As more text is engraved, the number of imagesdecreases, suggesting that such communicative property of the images was graduallyreplaced with that of the texts. This may also be the reason why the Gakseok engravingswere continued to be produced until the end of the medieval times in Inner Asian regionswhere oral tradition was dominant.Dragons that appear as a subject of line engravings bring up the possibility that suchengraving process included religious and shamanistic characteristics. Despite the spread ofthe written language, Shilla people’s beliefs in the shamanistic functions and effects ofpictorial records seem to have encouraged the line engravings to be made. Line engravingsin Cheonjeonri Gakseok should be re-evaluated as a resource showing the developmentsof Shilla’s written and drawn record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천전리 각석 세선각화와 명문
Ⅲ. 동아시아 선사·고대 선각화와 장식미술에 보이는 기록문화적 요소
Ⅳ. 천전리 각석 세선각화로 본 한국 고대의 기록문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호태(HoTae Jeon). (2016).울주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와 동아시아 선사고대미술로 본 기록문화. 선사와 고대, (47), 5-29

MLA

전호태(HoTae Jeon). "울주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와 동아시아 선사고대미술로 본 기록문화." 선사와 고대, .47(2016):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