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이용수 2746

영문명
The Generalization Effect of Semantic Category-Based Working Memory Treatment on Sentence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in Individuals with Aphas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손희정(HeeJeong Son) 성지은(Jee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174~192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를 실시하여 작업기억과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으로의 일반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어증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인지 및 언어장애가 나타나며, 작업기억은 언어 및 인지 관련 과제를 처리하는 데 있어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정보의 조작 및 수행에 관여하는 근본적인 기제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기억이론에 근거하여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실어증환자 7명을 대상으로 6-8주에 걸쳐서 주 2-3회 중재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총 16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는 특정 작업기억 과제를 반복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단서가 제공되는 중재 프로토콜이다. 결과: 중재 작업기억 과제의 단어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중재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단어 바로 따라말하기 과제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문장이해과제 정확도와 단어유창성 과제 중 동물 범주유창성 과제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비중재 작업기억 과제와 음소유창성 과제로의 일반화 효과는 제한적이었으나 중재 작업기억 과제와 문장이해, 범주유창성 과제로의 중재 및 일반화 효과를 나타냈다.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는 실어증의 근본적인 기제와 관련된 인지과정인 작업기억을 촉진하여 언어능력으로 확장하는 중재기법으로 다양한 유형의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억뿐 아니라 언어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effect of semantic category-based working memory (SCWM) treatment on sentence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in persons with aphasia. It was predicted that SCWM treatment would en¬hanc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crease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word fluency in patients with aphasia. Methods: Seven Korean individuals with mild to moder¬ate aphasia caused by left hemisphere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in 16 sessions, approximately half an hour per day 2 to 3 times a week. Treat¬ment protocol consisted of an SCWM span task and 4 cues: telling a word list to the partici¬pants, showing the participants category cards, showing the participants random word cards, and asking the participants to match category and word cards.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re-post comparisons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score increases in the SCWM span task. Furthermore, the SCWM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to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categor¬ical word fluency, and working memory span with word forward repetition task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SCWM treatment is effective in enhancing working memory capacity for people with aphasia.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to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categorical word fluency in these pati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ing memory is an underlying mechanism associated with sentence comprehension and categorical word fluency and is a critical factor to be consid¬ered in language treatment for persons with aphasia.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희정(HeeJeong Son),성지은(JeeEun Sung). (2016).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 174-192

MLA

손희정(HeeJeong Son),성지은(JeeEun Sung).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1(2016): 174-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