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2008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Learn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필연(PilYeon Jeong)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37~4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음음운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의 관계에 관해서는 상반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조음음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음운인식능력과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연구대상은 32명으로 생활연령 평균 70.81개월의 일반아동 16명, 생활연령 평균 70.62개월의 조음음운장애아동 16명이 참여하였다. 카우프만 아동지능검사 II, 수용 및 표현어휘력 검사, 우리말 조음•음운 검사, 음운인식능력, 순서학습과제(정확도, 암묵적 학습능력)를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둘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순서학습 정확도와 암묵적 학습능력은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었다. 셋째,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정확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있고,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조음음운장애의 평가 시 음운인식능력과 함께 외현적 학습 및 암묵적 학습능력을 고려하고, 음운인식능력의 중재에서 외현적 학습이 음운인식능력 발달을 촉진하므로 이에 대한 중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PD) have impaired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brain regions. Controversi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between children with APD and normal children. The main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PD.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een children with APD (70.81 months) and 16 matched normally developing (ND) children (70.62 months) were administered five tests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Korean Children-II,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sequence learning test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est).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phonological aware¬ness score of children with AP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quence learning task (accurac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the two groups. Lastly, children with APD and 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quence learning accura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valuation of sequence learn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 useful clinical approaches for studying AP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필연(PilYeon Jeong),임동선(Dongsun Yim). (2016).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 37-46

MLA

정필연(PilYeon Jeong),임동선(Dongsun Yim).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1(2016): 3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