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소리장애아동의 새로운 음운표상 형성 능력

이용수 966

영문명
New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배세령(SeRyeong Bae) 하지완(JiWan Ha) 구민모(MinMo Koo) 황유미(Yu Mi Hwang) 편성범(SungBom Pyu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24~36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표상 결함이 초기 형성단계부터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전제하고, 새로운 음운표상의 저장과 인출능력에 대해 일반아동과 비교를 실시하고 관련요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4, 5, 6세 말소리장애 아동 14명과 일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단어에 대해 의미와 함께 음운표상을 학습하는 학습단계를 거친 후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와 인출과제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에 대해서는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을, 새로운 음운표상 인출과제에 대해서는 산출 정확도를 분석하여,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월령, 자음정확도, 수용어휘력과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 및 인출과제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와 인출과제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의 정반응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판단과제의 반응시간(IES)과 인출과제의 정확도에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로운 음운표상 판단과제 수행력은 대상아동들의 월령 및 자음정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출과제 수행력은 대상아동들의 월령 및 수용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말소리장애아동의 음운표상 결함이 초기 형성단계부터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의의가 있다. 말소리장애아동의 경우 새로운 단어를 처음 접할 때 그것의 소리정보를 명확하게 저장하려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말소리장애의 치료 방향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o determine if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PR) deficit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begins in the initial stage of PR, this study compared the abil¬ity to learn new PR between SSD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4 SSD children and 19 TD children 4, 5, and 6 years of age. After the learning stage, a new PR judgment and retrieval tasks were performed, measuring th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responses. The relationships among age, accuracy of articu¬lation, receptive vocabulary, and task performances were examined. Results: In terms of correct response score on the new PR judgment task, SSD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hildren. SSD children and TD childre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s time. With regard to accuracy of the new PR retrieval task, both SSD children and TD chil¬dren had difficulty with the retrieval of new PR, and th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new PR judgment task and accuracy of articu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new PR retrieval task and receptive vocabulary, and between age and both task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SSD children have more difficulty memorizing new PR accu¬rately than TD children. PR deficit of SSD children is likely to begin in the initial stage of PR.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세령(SeRyeong Bae),하지완(JiWan Ha),구민모(MinMo Koo),황유미(Yu Mi Hwang),편성범(SungBom Pyun). (2016).말소리장애아동의 새로운 음운표상 형성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 24-36

MLA

배세령(SeRyeong Bae),하지완(JiWan Ha),구민모(MinMo Koo),황유미(Yu Mi Hwang),편성범(SungBom Pyun). "말소리장애아동의 새로운 음운표상 형성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1(2016): 2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