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이용수 964

영문명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mong Toddlers Born as Preterm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윤경(YoonKyoung Lee) 이효주(HyoJoo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60~68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숙아 출생은 영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을 만삭아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초기 언어습득기에 해당하는 12-30개월 사이의 미숙아 86명과 만삭아 79명, 총 165명의 영유아였다. 두 영유아 집단은 월령에 따라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검사 수행 결과를 t-test와 two-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지체 위험 출현빈도를 χ2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미숙아 출생 집단은 전체와 세 연령집단 모두에서 SELSI의 통합언어연령,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K M-B CDI의 표현어휘 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영유아집단과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K M-B CDI에서만 관찰되었다. 미숙아 출생 영유아 집단이 언어발달지체와 언어발달지체 위험군 출현율이 높았으며, χ2을 통한 출현빈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지연을 예방하기 위한 대한 조기 언어중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Being born preterm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s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mong toddlers who were born in preterm condition compared to full-term toddlers. Methods: A total of 165 toddlers, 86 preterm and 79 full-ter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of toddl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Languag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The results of two toddler groups on language tes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wo independent t-test, 2-way ANOVA, and χ2 test. Results: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ceptive language ag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combined language age measured by SELSI an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K M-B CDI than the chronological age-matched full-term toddler group. The prevalence of DLD and at risk D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term than the full-term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intervention in preterm toddlers for preventing language delay.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2016).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1), 60-68

MLA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1(2016): 60-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