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이용수 1171

영문명
The effect of ‘Relative earnings’ and ‘Absolute earnings’ on Women’s Housework : Beyond Exchange-bargaining theory and Gender display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오지혜(Oh Ji-hy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8집 1호, 233~27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력 향상이 가사노동으로부터 여성을 해방시켜 주는가?’에 답하기위해 상대소득과 절대소득을 고려한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상대소득을 바탕으로 가사노동을 분석해 온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여성의 ‘절대소득’이 가진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Gupta의 분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고정효과 모형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부인의 절대소득 변화가 가사노동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Gupta 연구와 달리, 한국의 기혼 여성들은 자신의 절대소득이 아닌 남편과의 상대소득에 따라 가사노동 시간이 변화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절대소득과 상대소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이를 함께 고려할 경우 절대소득의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강한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과 여성의 낮은 임금에 의한 것으로, 기혼 여성들은 본인의 소득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가사노동 시간이 줄어들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대소득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노동시장에서 여성들의 임금이 전반적으로 상승될 경우 가사노동 시간은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이처럼 여성의 절대소득 효과가 낮은 사회일 경우, ‘경제적 자원에 따른 배우자와의 합리적 협상(rational bargaining)’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에 대한 해석 또한 서구사회와 같아선 안된다. 그 이유는 기혼 여성들의 절대소득 그 자체가 배우자와 합리적 협상이 가능한 수준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사노 동 연구는 교환이론과 젠더보상이론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나아가 앞으로의 가사노동 연구는 시간적 변화까지 고려한 종단적 연구 또한 필요하다.

영문 초록

Do women’s earnings emancipate women from hous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a question by arguing that both the dominant mode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housework based on relative earnings, ‘Exchange-bargaining theory’ and ‘Gender display’, have fundamental defect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relative earnings’ and overlook the women’s ‘absolute earnings’, this study aim to comprehensively examine aspect of both sides, using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SWF) to fill the gaps in existing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solute earnings and relative earnings on women’s housework, this study complies with Gupta’s model and conducts fixed effect. Unlike Gupta’s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women’s housework is greatly affected by their earnings compared to their husbands’(relative earnings) not by their own earnings. To be specific absolute and relative earning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aken together, however, effect of absolute earnings has been decreased. This is due to strong male breadwinner model and low wages of women in Korea, married women can’t reduce housework time even though their earnings rise. Nevertheless, the effect of absolute earnings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wages of women rise housework time will be reduced in future. A society with low effect of women’s absolute earnings, rational bargaining with spouse based on economic resource is impossible. Therefore, interpretation on absolute and relative earnings should not be same like western society. It’s because absolute earning of married women itself is not on the level which can rational bargaining with spouse. Based on this results, a study of housework in future needs to be investigate with diverse ways beside exchange bargaining theory and gender display. Research of housework needs also longitudinal study with considering time changing.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대상 및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한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지혜(Oh Ji-hye). (2016).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가족과 문화, 28 (1), 233-270

MLA

오지혜(Oh Ji-hye). "한국 여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상대소득 및 절대소득 효과." 가족과 문화, 28.1(2016): 233-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