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가 교환자원에 부여하는 가치 일치도에 따른 관계만족도

이용수 335

영문명
Value congruency of exchanged resources on the Relational Satisfaction between adolescent and their mother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정민(KIM, Jungmin) 김현주(KIM, Hyunju)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8집 1호, 207~2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환 및 자원 이론적 관점으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가 교환하는 여섯 가지 자원(서비스, 정보, 경제, 물품, 지위, 애정)에 초점을 맞추어 교환 자원의 가치 일치도에 따른 관계 만족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소년 자녀와 그의 어머니 200쌍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 중 198쌍의 설문이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자녀가 어머니로부터 실제 제공받고 있는 자원은 물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자녀에게 제공받는 자원으로는 서비스와 정보 자원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둘째,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한 자원의 순위를 보았을 때 자녀는 지위 자원을 답하였고, 어머니는 정보 자원에 가장 높은 가치를 두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한 자원을 실제로도 제공 받았을 때의 만족도와 그렇지 않은 집단의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치집단이 불일치 집단에 비해 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와 어머니 모두에서 유의미하였다. 이에서 더 나아가 특정자원에 대해 어머니와 자녀가 가치부여를 동일하게 할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관계만족도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의 발견은 부모-자녀간 관계만족도를 평가함에 있어 단지 교환되는 자원의 양과 빈도만으로 교환의 상호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되는 자원의 가치를 고려해야 하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청소년기 자녀와 어머니가 개별 영역에서는 불균형적인 교환이 이루어지더라도 총체 적으로는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going to observe the rel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value congruency on exchanged resources, focusing on the six resources (service, information, economy, product, recognition, affection) that a mother and her child ex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and resource theory. For the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200 couples of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collected the data from 198 couples. The study shows that first, the resource that children are offered the most from their mothers is a product. An errand(service) and information are the resources that children provide to their mothers mostly. Second, when it comes to the resource that highest value was put on, it was acknowledgment for children, information for their mothers. In the last result, actually taken the resource that they put most value on,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at were offered the resource that were not value attached. The results were relevant for both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relational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same value attachment, the average of relational satisfaction increased when evaluating the same resource correspondently. Such a result proved to be significant. For such a result, we found grounds to support that not the frequency and amount of resource but resource value attachm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although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exchange their resources disproportionately in individu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provide basic data in analyzing how to manage the exchange balance.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민(KIM, Jungmin),김현주(KIM, Hyunju). (2016).청소년 자녀와 어머니가 교환자원에 부여하는 가치 일치도에 따른 관계만족도. 가족과 문화, 28 (1), 207-232

MLA

김정민(KIM, Jungmin),김현주(KIM, Hyunju).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가 교환자원에 부여하는 가치 일치도에 따른 관계만족도." 가족과 문화, 28.1(2016): 207-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