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이용수 959

영문명
Acceptability of Concept of Punitive Damage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장재옥(Chang, Jae-Ok) 이은옥(Lee, Eun-Ok)
간행물 정보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39輯 第3號, 81~11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1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der contemporary torts, compensatory damages is not a sufficient remedy for the victim. The punitive damages is the necessary policy measure to improve the problems of current circumstances against torts. The purpose of punitive damages is to punish the wrongdoer and to deter that person and others from similar tor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unitive damages may not be suitable for our legal system and practice. If the damages from illegal conduct are confined to the victim's losses, the inherent deterrent effect of compensatory damages may be sufficient. However, when illegal conduct gives rise to profits that are greater than the damages incurred by the victim, a purely compensatory system of damages will fail to provide adequate deterrence. German law has had and still has a difficulty of openly accepting punitive damages as part of its legal system. But since the necessity of accepting punitive damages has increased, punitive damages have been applied to such broad areas that they can be considered exceptional. Certain areas such as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ersonality and employment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cases are frequently governed by the notion of deterrence, which results in damages that are not purely compensatory. The noncompensatory and punitive elements of German law on damages is increasing.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nitive damages may be difficult in our civil law system, but this issue must be resolved through legislation of punitive damages in certain areas.

목차

Ⅰ. 서론
Ⅱ. 징벌적 손해배상과 전보적 손해배상의 관계
1. 징벌적 손해배상의 개관
2. 징벌적 손해배상과 전보적 손해배상
Ⅲ. 미국과 독일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
1. 미국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
2. 독일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
Ⅳ.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에 관한 문제
1.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 찬반론
2.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가능 영역
3. 위자료와의 관계
Ⅴ. 결론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재옥(Chang, Jae-Ok),이은옥(Lee, Eun-Ok). (2015).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법학논문집, 39 (3), 81-115

MLA

장재옥(Chang, Jae-Ok),이은옥(Lee, Eun-Ok). "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법학논문집, 39.3(2015): 81-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