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용수 2737

영문명
Analysis of Changes and Effects on Parenting Caused by Pre-school Daycare s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상언(Sang Un KIM)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2권2호, 19~2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의 정서적이고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한 감정을 조절하는 대화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변화의 여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동구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생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는 t-검증으로 비교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축소전환형, 억압형, 방임형, 감정코치형의 자녀양육태도를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자녀가 출생 후 최초로 접하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인생 전반에 걸친 인지지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녀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based on conversational methods that promote cognitive and positive relationship-forming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or parents with children who attend preschool learning institutions, and to examine the parents’ attitude of nurturing and any changes therein. To achieve the study purposes, parental education programs were carried out for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 the preschool learning institutions in Dong-gu,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Cronbach’s α to confirm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ques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ses to the pre experimental test and post-experimental test were compared through a t-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making positive changes to dismissive, repressive, neglecting, and emotionally coaching nursing attitu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itive nursing attitude of parent sthat the child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after birth has a critical influence on the child’s lifelong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paternal education is recognized,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re proposed for fathers and mothers of multicultural ho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언(Sang Un KIM). (2015).유아교육기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2 (2), 19-29

MLA

김상언(Sang Un KIM). "유아교육기관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 양육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2.2(2015): 19-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