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극 <나비의 탄생> 연구

이용수 77

영문명
A Study on the poetic drama the birth of a butterfl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임승빈(Yim Seung bi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6輯, 203~22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극 <나비의 탄생>은 1974년 5월에 발표된 문정희의 첫 시극 작품이다. 그리고 바로 그해 7월에 공연이 이루어졌다. 그러니까 1968년 7월 장호의 시극 <수리뫼>의 공연이 그 우수한 작품성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실패함으로써 60년대의 시극운동이 휴지기로 들어간 지 6년 만에 새로운 시극의 문을 연 1970년대의 첫 작품이었다. 때문에 <나비의 탄생>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시극 연구의 출발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문정희는 시극집 『구운몽』의 머리말에서 이 작품은 중국의 <연리수기>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검토 결과, 시극 <나비의 탄생>의 근원설화는 명대(1419년)의 『전등여화』에 채록된 <연리수기>보다는 당대에 『선실지』에 채록된 <양축설화>와 그것에서 비롯된 우리나라 고전소설 <양산백전>, 그리고 함경도의 서사무가 <문굿> 등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나비 탄생의 화소(話素)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연리수기>나 <양축설화>가 마찬가지지만, 나비 탄생의 화소가 나타나는 함경도의 <문굿>의 서사 내용이 <양축설화>와 그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양산백전> 등과 더 유사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갈등구조는 제도적 자아와 본능적 자아의 대립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작가는 인간의 삶을 관념화 하는 사회적 제도나 관습화된 가치보다 야생적 본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그렇게 야생적 본성을 강조하면서도,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 근대인데, 가난한 부모에게 효를 실천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총각귀신과 혼인을 하고, 또 그와의 사랑을 위해 무덤 속에 뛰어들어 죽음을 택하고, 다시 나비로 환생한다는 서사구조는 설득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았다. 시극적 제 특성으로는 먼저 극의 공간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으로 이중성을 가짐으로써 무대의 비일상성과 함께 환상성이 크게 두드러지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 대사가 소리, 합창, 독창 등으로 변용되면서 언어의 율격과 음악성이 강화되고, 은유적 의미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무용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관객의 상상과 감성을 더 많이 자극할 수 있는 풍성하고 역동적인 무대가 가능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이 <나비의 탄생> 외에도 문정희 시극의 대부분은 설화에 근거한다. 그리고 이것은 한국 시극의 방향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때문에 문정희의 다른 시극이 갖는 근원설화와 그 서사구조에 대한 연구도 어떻게든 필요하며, 한국 시극의 서사구조에 대한 연구에서도 설화와의 관련성이나 그 구체적인 차용문제를 더욱 심도 있게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영문 초록

The birth of a butterfly is the first poetic drama of Moon Jeong-Hee published in May, 1974. And soon it was performed in July of the same year. So it was the first work in 1970s that opened the new poetic drama stage in six years after the suspension period of poetic drama movement in 1960s, which happened because the performance of Jang Ho's poetic drama Surimoi failed at the box office in spite of its great literary value in July, 1968. Thus a study on the poetic drama the birth of a butterfly can be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a study on poetic drama in 1970s. Moon Jeong-Hee wrote down that the birth of a butterfly was based on Chinese literary work Yeonrisugi in the preface of poetic drama collection, Gu-Woon-Mong. However on closer examination I ascertained that the original narratives of the birth of a butterfly were Chinese Yang-chuk tale recorded in Sinseolji in Tang Dynasty, the Korean traditional novel Yangsanbaek-jeon derived from it ,and the narrative shaman song Mungut in Hamkyong Province and so on rather than Yeonrisugi recorded in Jeondeungyeohwa in the Ming Dynasty. This is because while there are no narrative elements about the birth of a butterfly like Yeonrisugi or Yang-chuk tale, a narrative content of Mungut in which expresses the narrative elements about the birth of a butterfly has more similarities to Yang-chuk tale and Yangsanbaek-jeon derived from it. I think the conflict structure of this work is the opposition between institutional ego and instinctive ego. And the writer interpreted that the wild instinc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system which makes human life ideological and the customized value. However despite stressing the wild instinct, I think that when the time setting of this work is modern times, the narrative structure to marry a non-existent bachelor ghost in real world in order to practice the filial duty to poor parents, to choose death by dashing into the grave for love with him and to be reincarnated as a butterfly lacks persuasion. I think that the poetic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non-dailiness as well as fantasy of the stage because the theater space has duality as real space and surreal space. Second, I think that the meter of language and musicality were reinforced and the metaphorical meaning was created more since lines were transformed as sound, chorus, and solo and so on. And also I think that by making full use of dance the lavish and dynamic stage which stimulates the audience's imagination and feelings much more might be possible. Most of Moon Jeong-Hee's poetic dramas besides this The birth of a butterfly are based on folktales. And this could have meaning that presented the direction of poetic drama newly. I think that more research on the original narratives of Moon Jeong-Hee's other poetic dramas and their narrative structure is needed and much effort to examine the reference to folktales in study about the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poetic drama and the concrete borrowing problem more deeply is need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근원설화와 서사구조의 제 문제
3. 갈등의 구조와 시극적 제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빈(Yim Seung bin). (2015).시극 <나비의 탄생> 연구. 어문연구, 86 , 203-229

MLA

임승빈(Yim Seung bin). "시극 <나비의 탄생> 연구." 어문연구, 86.(2015): 203-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