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이용수 74

영문명
A Study on Candidates' Demand for Voter Information in the 2014 Local Election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학량(Kim Hak Rya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49집, 33~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한 예비후보자들이 효율적인 선거운동을 위해 어떤 유권자 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예비후보자 설문조사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예비후보자들의 70%가 유권자의 휴대폰번호를 가장 중요한 정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논리적 추론에 근거하여 설정된 가설과는 달리 전자우편 주소 대신 집주소를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선거의 규모, 선거구의 도시화 정도, 예비후보자의 지역구와의 연고 정도에 따라 예비후보자가 휴대폰번호를 더욱 더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거나 일부만 입증되었다. 가설과는 달리 선거구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선거구와 도시화 정도가 크게 진전된 선거구에 출마된 예비후보자가 휴대폰번호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선거구와 연고가 깊은 선거구에 출마한 예비후보자일수록 휴대폰번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만 입증되었다. 그 외의 유권자 정보에 대해서도 선거구 규모가 클수록, 도시화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지역구와의 연고가 깊을수록 전자우편, 집주소, 집전화번호의 순으로 예비후보자가 유권자 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가설 설정을 했으나, 분석결과 집주소, 집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순이거나 집주소, 전자우편주소, 집전화번호의 순이어서 가설이 입증되지 못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kind of information about voters was thought most important by the preliminary candidates of the 2014 local election. It is based on mainly a survey against the preliminary candidates that e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s that around 70% of the candidates perceived cell phone numbers as being the most important. However, contrary to the established hypothesis, the residence address, instead of the e-mail address, was considered 2nd most critical.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precinct of the election, the extent of urbanization, and degree of personal connections between the candidate and the region, all had a correlation with the demand for cell phone numbers. However, the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confirmed. Contrary to the hypothesis, a larger electoral precinct size or further urbanization did not necessarily indicate a higher demand for cell phone numbers. However, in cases where the candidate had prior connections with the region, the candidates did in fact value cell phones highly.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size of an electoral precinct, the extent of urbanization, and prior connections with the region would positively correlate with an increase in demand for E-mail addresses, residence addresses, and residence phone numbers, respectively. Howeve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rder of preference was residence address, residence phone number, and E-mail or residence address, E-mail address, and residence phone number, thereby failing to prove the hypothesis.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선거운동법령 논의
Ⅲ. 연구문제 및 대상
Ⅳ. 자료 및 분석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학량(Kim Hak Ryang). (2015).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49 , 33-56

MLA

김학량(Kim Hak Ryang). "후보자의 유권자 정보수요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49.(2015): 3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