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고분출토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변천

이용수 579

영문명
The changing aspect of the spoke shaped convex tiles with lotus pattern from ancient tombs from Goguryeo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주홍규(JU HONGGYU)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8호, 107~1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안지역과 평양지역의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된 구획선연화문 수막새를 중심으로 문양과 접합기법의 변천양상을 파악한 것이다. 집안지역에 있는 4기의 적석총과 평양지역에 있는 1기의 기단석실봉토분에서 출토된 고구려의 구획선연화문 수막새는 문양에 의해 총 7형식으로, 제작기법에 의해 총 3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구려의 고분에서 출토된 구획선연화문 수막새는 연판의 형태, 연판의 좌우에 배치된 문양의 양상, 내, 외부 권선의 특징, 구획선과 권선의 접속 양상, 중방의 형태, 접합기법 등에서 일정한 차이점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문양요소의 차이는 지역성이나 공인집단의 제작기술적인 차이가 아니라 시기적인 차이를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분에서 발견된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연대를 토대로 평양지역에서 발견된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연대와 변천에 관해서도 검토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존에 천추총형으로 불리던 ⅡA1a①식의 수막새가 태왕릉형(ⅠA1a①식)과 장군총형(ⅢA1a①식)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보던 우산 2112호에서 출토된 구획선연화문 수막새(본 연구의 ⅠA`′1a①式과 ⅠB`′1a①式)를 평양 천도 이후인 5세기 중엽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로 판단했다. 고구려는 평양에 천도한 이후에도 집안에 있는 고분에 수막새를 제작해 이용했을 가능성이 상정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understanding of a spoke shaped convex tile with lotus pattern which is excavated from ancient tomb of Goguryeo, focusing on its inosculation techniques and changing aspect. The Goguryeo convex tiles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by its patterns, also into three by its manufacturing techniques. The tiles are excavated from six Stone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stairs in Jian, one Stone chamber tomb with stone stylobate in Pyeongyang. A certain differences from Goguryeo convex tiles excavated from ancient tomb can be found in its shape of lotus pattern, aspect of circular protuberance that placed in both sides of lotus pattern, feature of outline winding of the circular bump, connection aspect of spoke with winding, shape of circular bump, inosculation techniques.Those differences are not from regional gap, but from periodic differences. As a result, this was concluded as the period of the convex tiles from Woosan 2112thtomb(ⅠA′1a ① and ⅠB′1a① form in this study). The Goguryeo convex tiles are considered as after middle 5thcentury,which is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late4thcenturytoearly5thcentury). It is supposed that Goguryeo still manufactured the convex tiles and buried in ancient tombs in Jian even after the transfer of capital.

목차

Ⅰ. 머리말
Ⅱ. 구획선연화문 수막새가 출토되는 고구려 고분
Ⅲ. 고구려 고분출토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형식분류와 선후관계
Ⅳ. 고구려 고분출토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접합기법
Ⅴ. 고구려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변천과 시기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홍규(JU HONGGYU). (2015).고구려 고분출토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변천. 한국상고사학보, (88), 107-134

MLA

주홍규(JU HONGGYU). "고구려 고분출토 구획선연화문 수막새의 변천." 한국상고사학보, .88(2015): 107-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