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근세의 농법과 수리시설

이용수 1234

영문명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Early Modern Age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염정섭(Yeom, Jeong-Sup)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0호, 99~151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중·근세사회의 농법과 수리시설의 변화, 발달과정 등을 문헌 자료 검토와 발굴 보고서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의 경지이용방식은 文宗代 田品 규정에서 볼 때 1년 또는 2년 休閑法이었다. 벼 경작법이 고려말에 이르러 休閑法에서 連作法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고려후기 한전경작법은 1년 1작의 연작법이었다. 고려시대 경작유구의 사례에서 여러가지 밭작물을 두둑을 중심으로 경작하고 있었던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수리시설 관련 기록은 12세기부터 집중적으로 나오는데, 新田 開墾과 벼 재배 비중이 확대되었기 때문이었다. 고려의 수리시설은 洑, 堤堰, 河渠, 防潮堤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경상도 양산 지역의 黃山堰의 경우 황산역 주변에 대한 治水 사업과 田畓 의 보호를 위해 만든 제방이었다. 尙州 恭儉池의 경우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에 걸쳐 제 방의 增築, 補築, 改築이 계속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벼 재배법은 水耕과 乾耕, 그리고 挿種 즉 移秧이었다. 이앙법은 16세기를 거치면서 경상도 전역과 전라도·충청도의 일부 지역으로 보급되었다. 그리고 15세기에 밭에서 여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1년 1작 방식이었다. 조선시대 자기편, 도기편과 함께 출토된 밭유구에서 밭의 구조와 조성방식의 특색 등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수전의 경우 경지 표면의 水平을 잘 유지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었고, 습지의 개간은 토양의 개선, 토양의 첨입 등이 필요하였다. 조선 전기의 水利 정책은 堤堰, 川防 등 수리시설의 축조와 관리를 중심으로 펼쳐졌다. 水田이 크게 증대하면서 수리시설의 필요성이 커졌다. 김제 碧骨堤의 경우 방조제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石柱와 木板으로 貯水하는 제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밀양 守山堤 의 경우 水沈, 沈沒과 같이 강물이 넘쳐 물에 잠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용도의 제방이었다. 조선 후기 농법 발달의 대표적인 것은 水田 移秧法의 보급 확산이었다. 숙종 초반 17세기 후반에 이르게 되면 삼남지역에서 이앙법이 전면적으로 채택되고 있었다. 그리고 16세기 후반을 거치면서 밭작물을 1년에 두 번 경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세기 이후로 추정되는 水田 유적에서 농경활동의 흔적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밭유구에서 두 둑, 고랑, 식재흔적 등을 세밀하게 밝힐 수 있다. 조선 후기에도 堤堰과 川防을 수리시설로 이용하였는데, 조정은 새로운 堤堰과 川防의 축조, 그리고 기존 수리시설의 관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洑의 중요성이 강조되여 開洑 (洑의 개설·축조)를 강조하였다. 華城城役과 관련된 萬石渠의 경우 水口를 만들고, 남쪽 水路 입구에 水閘을 설치하였다. 앞으로 여러 지역의 많은 수리시설에 대한 발굴조사와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explain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 Early Modern Age. To acquire this aim, I`ve analyzed many literature about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also researched some examples about excavation report of cultivation remains. During Korea Dynasty, the basic way of arable land utilization was the method of fallow by one or two years. But in the late days of Korea Dynasty, they developed the method of repeated cultivation. We can draw a deduction that they cultivated various crops on a ridge between fields,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excavation report of cultivation remains. And many irrigation facilities was constructed and rebuilded, repaired from Korea Dynasty to Joseon Dynasty like Hwnagsan-ern and Gonggeum-ji.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y cultivated rice and other crops in the wet or dry field. They accepted the method of repeated cultivation as a natural cultivation method. And in the 16th century, the technique of transplantation of rice seedling in rice cultivation was spreaded into Chenrado and Chungchengdo.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constructed many small dams and bo for irrig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water supply establishment had been increased in 15th and 16th century. The typical two examples of dam were Beoyggol-je and Susan-je. Beoyggol-je was not breakwater but an irrigation reservoir. And Susan-je was breakwater to prevent flooding of Nakdong River. During the late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y developed the method of bring up rice seedling. Expert farmer had been eager to improve this technic, therefore there were large amount of improvement. In the side of irrigation facilities, Joseon government executed traditional policy that strengthened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facilities. If we could examin all the remaining irrigation facilities, we have collected research material abou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 Early Modern Age.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의 농법과 수리시설
1. 고려시대 농법의 변화
2. 고려의 수리시설 활용
Ⅲ. 조선 전기의 농법과 수리시설
1. 조선 전기 수전농법과 한전 농법
2. 조선 전기의 수리시설
Ⅳ. 조선 후기의 농법과 수리시설
1. 조선후기 농법의 발달과 경작유구
2. 조선후기의 수리시설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정섭(Yeom, Jeong-Sup). (2012).중·근세의 농법과 수리시설. 중앙고고연구, (10), 99-151

MLA

염정섭(Yeom, Jeong-Sup). "중·근세의 농법과 수리시설." 중앙고고연구, .10(2012): 99-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