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時代 墳墓에 남겨진 喪葬節次

이용수 323

영문명
Remain in the Joseon Dynasty tombs, death and burial procedures -based on Excavated material of EunPyung NewTown-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홍지윤(Hong, Ji-youn)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0호, 225~2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은 성리학적 격식을 중시한 신분제 사회이며, 예서를 통해 그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조선시대 분묘가 집중 조사된 은평뉴타운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禮書의 상장절차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고, 치장의 차이에 의해 분묘를 분류하였다. 治葬은 殯 의 기간에 행해지며, 회곽을 조성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어 있다. 회곽묘와 동일한 과정으로 축조된 목곽토광묘의 존재를 통해 토광묘에서도 회곽묘와 동일하게 의례가 행해졌음 을 알 수 있었다. 분묘를 통한 상장의례의 확인은 유물의 출토위치와 부장양상으로 살필 수 있다. 유물 부장은 편방과 요갱 등 부장 공간을 별도로 마련한 것과 광벽이나 광저, 매장주체부 주변 등 의례와 관련하여 부장된 것으로 구분된다. 편방은 가례의 적용으로 도입되었으며, 회 곽을 조성하면서 소형화된 器物(명기)를 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요갱에 유물을 부장하거나, 동전이나 철편의 부장은 바닥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땅의 신에 대한 貢獻으로 이해되며, 司后土 및 臨壙奠의 과정으로 보았다. 하관 후 매장주체부 주변에 부장된 청동시저 등은 의례에 나타난 主人贈 의식과 관련하여 부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치장에서 灰의 사용은 극히 제한된 계층에 한정되었으며, 회를 사용할 수 없는 계 층은 회곽 조성과 동일하게 목곽을 조성하고 의례를 행하였는데, 그 유형이 목곽토광묘이 다. 의례가 생략된 하층민이나 근래 들어 殯이 간소화 되면서 묘광에 관을 넣고 주변을 채운 목관토광묘로 변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Joseon was social status system that valued Seongrihak ceremony. It's procedures was processed by propriety and calligraphy. This Study shows how funeral process was adopting from ceremony books, and then classified tomb decoration. The text is based on excavation report which was investigated in EunPyung NewTown. Tomb Decoration was being performed during funeral services. Ceremony books explain how they constructed Hoegwak, we can review the process of tomb construction. Meantime, we learned that Togwangmyo had a same ceremony with Hoegwakmyo because we've found the existence of Mokgwaktogwangmyo that was made in same process with Hoegwakmyo. We can verify funeral ceremony from excavation spot and burial features of tomb. The relics in tomb is classified 2 type. One is buried in separate room such as Pyeonbang and Yogaeng. The other was buried in Walls, floors, Burial space due to ceremony. Performance of Garye brought Pyeonbang and it was for preservation of miniaturized Meongki which was used in Hoegwak construction. Burial in Yogaeng or buried coins, metal pieces was done in the ground. We could guess that means earth's contribution for God and a kind of process for Sahuto and Imgwangjon. We understand Bronze body shops buired around Burial space after depostion coffin was related with Juinjoung ceremony. Plaster for decoration was only used for limited people. People who couldn't afford plaser used wood tomb with the same process of Hoegwak. That is Mokgwaktogwangmyo. we understand that Mokgwaktogwangmyo was for lower class people without ceremony, also for funeral ceremony which was simpler at tha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은평뉴타운 발굴조사 현황
Ⅲ. 喪葬節次와 墳墓의 分類
1. 喪葬節次와 治葬
2. 朝鮮時代 墳墓의 類型
Ⅳ. 墳墓에 반영된 喪葬儀禮
1. 유물의 부장과 상장례
2. 분묘의 유형과 상장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지윤(Hong, Ji-youn). (2012).朝鮮時代 墳墓에 남겨진 喪葬節次. 중앙고고연구, (10), 225-247

MLA

홍지윤(Hong, Ji-youn). "朝鮮時代 墳墓에 남겨진 喪葬節次." 중앙고고연구, .10(2012): 225-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