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志』 韓條의 ‘草屋土室’에 대한 一考察

이용수 96

영문명
A study on the ‘Chooktoshil' of Hanjo (韓條)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amgukji)』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장덕원(Jang, Duck-won)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0호, 153~17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三國志』 韓條에 기록된 ‘草屋土室’의 성격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적·고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三國志』 東夷傳의 사료적 가치와 성격에 대한 시각을 간략하게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문헌과 고고학적 물질자료와의 부합여부를 살펴보았다. 문헌적 접근을 위해 『三國志』 東夷傳 이외의 사료에서 각 민족이 사용한 가옥의 기록을 살펴보았다. 사서에 나타난 ‘穴’, ‘室’, ‘屋’, ‘宅’, ‘宇’ 등은 당시에 일반사람들이 사용한 주거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草屋土室’과 ‘土室’은 수혈주거로 볼 수 있다. 『三國志』 韓條의 기록은 진수가 從軍者, 群吏, 商人 등의 보고를 통해 작성된 것으로 그들이 머물거나 지나갔던 곳은 교역소로서 중국 화폐, 한경, 중국 도자기 등이 확인 된다. 이러한 곳에서는 기둥구멍, 화덕시설 등을 가진 수혈주거지가 확인되고 그 중 화 재주거지는 탄화된 목재와 소토가 확인되어 상부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사 례를 통해 초옥토실의 상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2~3세기대의 기후가 춥고 습기가 많은 기후였기 때문에 화덕시설이 확인되지 않은 장선리 토실을 일본 고분시대 중기의 中筋遺蹟과 동일하게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를 참고하면 장선리 토실은 주거보다 저장기능이 농후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this study capitaliz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attempted a bibliographical and arche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ooktoshil(草屋土室)’. First of all, this study briefly reviewed the historical value of Dongyijeon (東夷傳)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As a result, archeological and physical data corresponded to the records in some cases, while they did not in other cases. In particular, the non-correspondence of Hanjo(韓條)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is most salient. For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n the houses used by each people in Hanjo(韓條)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Samgukji)』 and the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Huhanseo)』 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The bibliograph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Hyeol(穴),’ ‘Shil(室),’ ‘Ok(屋),’ ‘Taek(宅)’ and ‘Woo(宇)’ appearing in historical texts represent the pit dwellings and log cabins used by ordinary people in those days, and the buildings presumably used by upper classes for special purposes, and ‘Chooktoshil(草屋土室)’ and ‘Toshil (土室)’ are thought to be ordinary pit dwellings. As the records in Hanjo(韓條) of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amgukji)』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reports made by camp followers, government officials and merchants, the places they stayed at or passed were probably important places of trade, which is proven by places where Chinese currency, Han bronze mirrors and Chinese ceramics. The dwelling patterns found in the locations where these relics were excavated varied slightly depending on regions, but they are mostly pit dwellings with pillar holes and fire pots. As charred wood and baked earth were discovered in burned dwellings, the upper structure can be restored, and recently archeology and architecture are joining hands to restore pit dwellings of those days. The Nakasuji remains(中筋遺蹟) belonging to the middle Kohun Period of Japan can be viewed as corresponding to the record in 『Nihon Shoki』, but as the climate in the 2nd~3rd centyr was cold and humid, it is unreasonable to regard the Jangseon-ri Toshil without any fire pot as identical to the Nakasuji remains(中筋遺蹟). In light of recent researches, however,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view the pit dwellings including Jangseon-ri Toshil as structures for storage rather than as dwellings.

목차

Ⅰ. 머리말
Ⅱ. 『三國志』 東夷傳에 대한 시각
Ⅲ. ‘草屋土室’의 문헌적 접근
1. 『三國志』 韓條와 고고학 자료의 관계
2. 문헌적 접근
Ⅳ. ‘草屋土室’의 형태와 장선리 토실의 성격
1. ‘草屋土室’의 형태
2. 장선리 토실의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덕원(Jang, Duck-won). (2012).『三國志』 韓條의 ‘草屋土室’에 대한 一考察. 중앙고고연구, (10), 153-178

MLA

장덕원(Jang, Duck-won). "『三國志』 韓條의 ‘草屋土室’에 대한 一考察." 중앙고고연구, .10(2012): 153-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