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이용수 516
- 영문명
- On the Historical Resources from Joseon Dynasty Buddhism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저자명
- 손성필(SOHN, Seong-phil)
- 간행물 정보
- 『불교학연구』제39호, 367~413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시대 불교는 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였고 연구도 부진하였다. 이는 근대기에 형성된 조선시대 불교의 부정적 역사상, 교학 발달사 중심의 불교학 연구경향, 단선적 사회발전론에 치우친 역사학 연구 경향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사실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는 이전 시대에 비해 양적으로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나 그간 이다양한 자료들이 연구에 활용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 연구돼 왔으며, 각 자료의 성격을 고려한 체계적 분석과 종합적 해석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관찬편년사서, 법전, 호적, 양안, 의궤, 지리지, 문집, 일기, 필기, 불교저술, 간행불전, 승려문집, 고승비, 사찰사적, 사찰문서 등의 주요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의 성격에 대해 논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에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되 그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해야 함을 논한 한편, 자료의 종류와 성격에 대한 이러한 개관적인 분석만으로도 다카하시의 여러 담론을 비롯한 기존의 조선시대 불교사 인식이 신중히 재검토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불교는 국가의 전면적인 제재를 받았다고도, 사회적으로 무력했다고도, 사상 전통이 단절되었다고도 보기 어려웠다. 불교정책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고, 불교계는 조선 사회의 일부로서 사회 변화에 대응하였으며, 기존 불교 전통을 능동적으로 계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다양한 자료를 통한 실증적 연구와 균형 있는 시각을 통해 새로운 조선시대 불교의 역사상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한편, 기존의 조선시대 불교 역사상이 근대기에 형성된 배경과 양상에 대한 연구도 심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불교 사상의 전개 뿐 아니라 불교와 사회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amount of Buddhist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is much greater than in any previous period. However, studies on these materials have thus far not made much progress. Instead, the historical view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for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y such authors as Takahashi, has continued to predominate. In this paper, Buddhist historical materi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classified into those written by the government and the literati (the sajok), and those written by the Buddhist community and monastic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are catalogued: for example, official chronological historiographies, legal codes, household registers, geographical gazetteers, literary collections and diaries of the literati, Buddhist writings and published scriptures, literary collections of monastics, memorial steles for the renowned monks, temple documents, and so on. I conclude that it is hard to maintain the view that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was suppressed in a consistent manner, powerless in society, and discontinued in tradition. Therefore, Takahashi's argu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needs to be reconsidered.
목차
Ⅰ. 머리말
Ⅱ. 국가 및 사족의 편찬 자료
1. 관찬편년사서
2. 법전, 호적, 양안, 의궤
3. 지리지와 읍지
4. 문집, 일기, 필기
Ⅲ. 불교계 및 승려의 편찬 자료
1. 불교저술과 간행불전
2. 승려문집과 고승비
3. 사찰사적과 사찰문서
4. 기타: 가사, 건축, 미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 『십지경』의 가장 오래된 두 네팔 산스크리트 사본의 전사(轉寫)―「현전지」(I)
- 『금광명경』의 여신들과 한국불교에서의 그 신앙문화
-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 眞言敎法의 성립에 관한 一考察
- 현륭의 유식사상
- 지적 이해와 원효의 선관(禪觀) -‘이해하기(觀)와 체득하기(行)’ ‘선정(內行)과 세상 만나기(外行)’의 결합 문제와 관련하여
- 조선시대 불교사 자료의 종류와 성격
-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혜경(惠景)의 사상경향 분석 -「五識身相應地」와「意地」의 주석을 중심으로
- 테라와다 불교의 재가불자 신행도 -Upāsakajanālaṅkāra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