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n the Role and Classification of Upekhā 平靜 as Found in Pālī Buddhist Scripture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박재은(Park, Jae-eu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9호, 127~17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팔리(Pāli)어 우뻬카(upekkhā, 平靜)는 주요한 수행적 자질로서 소개된다. 그것은 중립적 느낌 또는 주관적 관념을 배제한 관찰, 존재를 차별하지 않는 지혜 등으로 표현되는데, 주로 내면적인 조화나 균형적 자질을 의미하는 정신적 중립의 태도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의 배경에는 5세기경 붓다고사가 편찬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Visuddhimagga(『청정도론』)가 놓여있다.『청정도론』은P āli nikāya (팔리 니꺄야)에 수록된 우뻬카를 중립, 집착, 관찰 등 그 기능에 따라서 열 가지 종류로 분류하는데, 현재 팔리 문헌을 토대로 한 우뻬카에 대한 개념적 이해나 논의는 대부분 이 분류법을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초기경전인 팔리 니까야를 검토해 보면,『 청정도론』에서 보다 좀 더 다채롭고 유연한 우뻬카의 용례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용례들은 통찰, 평온, 순수의식, 무지(無智), 만족, 원리(遠離), 중립, 편견 등 그 기능과 특성이 다양하게 세분되어 나타난다. 본고는 『청정도론』 을 저본으로 한 우뻬카에 대한 기존의 이해가 가지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우뻬카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초기경전을 토대로 다양한 우뻬카의 용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먼저 팔리 니까야에 보이는 우뻬카에 대한 용례를 살펴보고 이들을 기능과 특성에 따라 구분하였다. 그리고 『청정도론』에서 제시한 열 가지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를 검토해 본 후, 팔리 니까야의 용례를 기준으로 『청정도론』의 우뻬카의 분류법이 지닌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우뻬카에 대한 이해가 초기경전을 배제한 채 『청정도론』의 설명에만 의지할 경우 개념적 이해의 폭이 좁아진다거나 이 술어가 지닌 다양한 기능과 특성들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좀 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Upekhā is introduced as one of the major qualities of Buddhist practice. It has the meaning of a neutral feeling, observation without subjective conception, and wisdom free of discrimination; however, it is mainly understood as a neutral attitude of the mind which means an inner harmony or balancing quality. The background of this understanding originates in the Visuddhimagga 淸淨道論, published in the fifth century by Buddhagosa. Buddhagosa classfied Upekhā mentioned in the Pāli nikāya by 10 kinds according to its function such as neutrality, attachment, and observation. Mos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cademic discussion of Upekhā since then has been based on this way of classification - through Buddhist Abhidhamma scriptures in the later 5th century, beginning with Visuddhimagga, to modern literature. But when the Pālī nikāya is reviewed in detail, there exist more varied and flexible meanings of Upekhā than are categorized in Visuddhimagga. These various detailed classifications include discernment, calmness, pure consciousness, ignorance, satisfaction and detachment. Realizing these issues, I point out a limitation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Upekhā based on Visuddhimagga, and at the same time show its various uses in the Pāli nikāya. I first examine the use of Upekhā as found in Pāli-nikāya, and then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characteristic. Second, I investigate the 10 kinds of functional classifications as found in Visuddhimagga. Finally, I examine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s of Upekhā in Visuddhimagga based on its use in Pāli nikāya. When we only rely on the expressions of Upekhā in Visuddhimagga and exclude those found in the nikāya, the horiz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Upekhā may be narrowed. Furthermore, there is the potential that the various meanings may become distorted or miscommunic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delicate approach towards the term of Upekhā.

목차

Ⅰ. 서론
Ⅱ. 초기경전의 우뻬카
1. 우뻬카의 용례
2.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와 특징
Ⅲ.『 청정도론』의 우뻬카
1.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와 특징
2. 초기경전과『 청정도론』의 비교
Ⅳ. 우뻬카의 구분과 문제점
1. 기능적 분류가 지닌 문제
2. 타트라마자따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은(Park, Jae-eun). (2013).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불교학연구, (39), 127-174

MLA

박재은(Park, Jae-eun).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불교학연구, .39(2013): 127-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