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정 형사소송법 및 대통령령의 규정에 따른 검사의 수사지휘권 - ‘수사’의 개념 및 검사 수사지휘의 범위를 중심으로 -

이용수 220

영문명
A investigation-command about prosecutors' management of judicial police officers on the 2011' revised-Criminal Procedure and Presidential Decree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정웅석(Jeong, Oung-Seok)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4권 제2호, 171~20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하여 2010년 2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년 4개월여에 걸친 논의를 거쳐 2011. 6. 30. 형사소송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는데, 그 중에는 검사의 수사지휘와 사법경찰관의 수사와 관련된 조문의 개정안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1954년 형사소송법 제정이후 반세기 동안 수사체제를 규율하던 형사소송법 조문 및 그에 따른 대통령령인 ‘검사의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및 사법경찰관리의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구 사법경찰관리 집무규칙)이 개정되어 그 의미에 대한 적절한 법해석론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경찰 측은 (구)형사소송법 제196조 제1항의 문구가 검사의 지휘가 없으면 경찰이 수사를 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주장하며, 그 개정을 주장하였고, 검찰의 수사지휘권 배제론자들도 대부분의 범죄에 대한 수사개시는 경찰의 독자적 판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도 법률상 수사주체가 검사로 되어 있어 현실과 법규범이 괴리되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개정 형사소송법이 사법경찰관의 독자적인 수사개시․진행권을 보장하였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검찰은 현재의 수사체제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경찰이 검사에게 일일이 지휘를 받지 않고도 수사를 개시하고 있는 현실을 규범화한 ‘수사현실의 반영’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수사의 개념과 개정 형사소송법 및 대통령령의 수사 지휘권의 발현을 법이론적 및 법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수사지휘의 필요성을 논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Criminal Procedure Article 196(Judicial Police Officers) section 1. and section 2 in past is followed: 1. Investigators, police administrative officials, police superintendents, police captains or police lieutenants shall investigate crimes as judicial police officers under instructions of a public prosecutor. 2. Police sergeants or patrolmen shall assist in the investigation of crimes as judicial police assistants under the instructions of a public prosecutor or judicial police officer. So, the police are a subsidiary organ of the prosecution, lacking independent powers of investigation. They conduct investigations under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of public prosecutors. But Article 196 section 3. of the 2011' revised-Criminal Procedure admits the Right of a investigative Beginning of the Police. Nowadays, it is so controversial in analysis on the approval of called ‘a investigative Beginning of the Police'. The Police insist that the Amendment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196 for the approval of called ‘a investigative Beginning of the Police' is admitted independence-investigative Right from instructions of a public prosecutors, but, the public prosecutors insist that the meaning of the Amendment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196 is theoretically just confirmed the Right of a first-investigative Beginning of the Police. Also,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Scope of the Presidential Decree in the Article 196 section 3. of the 2011' revised-Criminal Procedure is controversial. Thus, I would like to ref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Investigation and the Investigation at this paper. As a rule, an interim Investigation cases mean determining whether there actually was a crime committed before the case is formally filed as a criminal case. The problem is that the term 'interim investigation' is not stipulated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But it is evident that an interim investigation case is not a word in an official act and it has been expanded based on the procedures in practice. As you can see, an interim investigation case by the police is being utilized more often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legal control is not adequately provided.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interim investigation and the normal investig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he natural perspective. The natural perspective claims that the interim investigation and the normal investig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not based on whether the investigator followed the official filing procedure but whether the suspicion was expressed publicly.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 standard of the scope of the Internal Investigation and the Investigation and expresses the reasonableness of the practicality in the Internal Investigation and the Investigation. So, I would like to insist necessity of the investigation-command about prosecutors' management of judicial police officers.

목차

Ⅰ. 서 설
Ⅱ. 수사의 개념 및 행정경찰과 사법경찰의 구별
Ⅲ. 대통령령의 규정에 따른 수사지휘권의 발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웅석(Jeong, Oung-Seok). (2012).개정 형사소송법 및 대통령령의 규정에 따른 검사의 수사지휘권 - ‘수사’의 개념 및 검사 수사지휘의 범위를 중심으로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4 (2), 171-206

MLA

정웅석(Jeong, Oung-Seok). "개정 형사소송법 및 대통령령의 규정에 따른 검사의 수사지휘권 - ‘수사’의 개념 및 검사 수사지휘의 범위를 중심으로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4.2(2012): 171-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