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성 장애아동의 화행(speech acts) 능력

이용수 888

영문명
Speech Acts in Korean Children with Autism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조성숙 김미경 박선언 홍은미 조숙환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2호, 215~2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 초기단계의 자폐성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화행특성과 화행범주별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한 단어 또는 두 단어를 조합하는 표현언어 초기발화단계에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8명)과 비장애아동(8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행동을 구조화된 상황과 비구조화된 상황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다. 연구자와 아동의 1:1 상호작용 과정을 1주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비디오로 녹화한 후, MacWhinney의 CHAT으로 전사하고, 편집하였다. 그리고, Ninio & Wheeler의 화행 코딩체계를 기준으로 총 71개의 화행코드와 11개의 화행범주로 재구성하여 화행분석을 하였고, 화행코딩 결과는 MacWhinney의 CLA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화행빈도수에서는 자폐아 집단과 비장애아 집단의 차이가 없었으나, 화행 특징을 설명하는 화행범주의 사용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비장애아 집단은 다양한 화행범주들을 고르게 사용하고 있었지만, 자폐아 집단은 분명한 기능이 없는 단어 같은 발화나 알아듣기 어려운 발성과 같은 화행범주와 상대방 말을 반복, 아동 특유 표현, 반향어, 기계적으로 외운 표현, 자기말 반복과 같은 발화유도/반응 화행범주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논의 및 결론: 자폐아동들은 화용발달에 있어서 상대의 말에 동의하거나 문장으로 진술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상대의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화행을 거의 하지 못했다. 그리고 질문에 맞는 대답하기나, 정보를 얻기 위해 적절히 질문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ddressed two questions: 1) whethe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differ from language age (LA)-matched control subjects in expressing communicative intents, and 2) what factors may be related to pragmatic development.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8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ASD and 8 normally-developing (ND) children. The data included spontaneous utterances collected during dyadic activities in two 30-minute-long sessions which were conducted three times. In transcribing, coding, and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adopted the systems developed by MacWhinney and by Ninio & Wheeler. Repeated-measures ANOVA with SPSS 12.0 for window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SD and the ND childrenin the overall frequency of the speech acts while the frequency increased gradually in the utterances of the ND childr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ASD and the ND childre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pragmatic categories. Discussion & Conclusion: It was speculated that a limited set of speech act types observed in the ASD children might be due to the lack of sensitivity to role reversals and collaborative engagemen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SD children are deficient in directives and responses which require communicative ability to agree or disagree with others, direct the other’s attention, give a warning, and ask the interlocutor about his/her wish or intention, as well as taking the interlocutor’s perspective and sharing the goals collaborativel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숙,김미경,박선언,홍은미,조숙환. (2007).자폐성 장애아동의 화행(speech acts)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 (2), 215-236

MLA

조성숙,김미경,박선언,홍은미,조숙환. "자폐성 장애아동의 화행(speech acts)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2(2007): 21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