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질 저하의 정도에 따른 말명료도 연구

이용수 469

영문명
A Study of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표화명(Hwa Young Pyo)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2호, 256~27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성의 문제를 주소로 내원하는 음성장애 환자들이 자신들의 발화의 불명료성을 종종 호소해 왔으나, 음소 및 운율산출이 정상적인 이들의 발화의 명료성에 대한 고려는 등한시되어왔다. 이에, 음질 저하의 문제만을 가지고 있는 음성장애 환자의 발화를 대상으로 명료도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저하된 음질이 명료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아울러 이들의 명료도가 정상 화자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명의 정상 화자와 음질 저하의 정도가 다른 음성장애 환자 12명(GRBAS 평정에 따른 G1, G2, G3군 각 4명)의 문단 낭독 중에서 단어 및 문장목록을 추출하였다. 정상청력을 가진 청취자 32명을 대상으로 단어목록으로는 단어인식검사를, 문장목록으로는 시각적 아날로그(visual analog scale: VAS)기법을 이용한 척도평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어인식검사 결과, 음질 저하 정도가 약한 G1군의 명료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정상 화자, G2군, 음질 저하가 가장 심한 G3군의 순서를 보였다. 척도평정 결과, 명료도와 전반적 인상의 점수는 정상 화자가 가장 높았으며 G3군이 가장 낮았던 반면, 청취노력과 음성강도 일탈성은 G3군이 가장 높고 정상 화자가 가장 낮았다. 명료도는 전반적 인상과는 정적 상관을, 청취노력 및 음성강도의 일탈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심각한 음성장애 환자들은 정상적인 조음 및 운율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말명료도를 보였다. 본 결과는 음성장애환자 치료시에 말명료도 증진을 위한 치료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Many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have complained of their unintelligible speech, but their speech intelligibility has been beyond the experts’ interests due to the normal phoneme production and prosody of the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speech intelligibility affected by voice quality degradation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Methods: Lists of words and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he paragraph produced by the 3 normals and 12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The 12 pati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3 groups comprising 4 patients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GRBAS scale: G1 group with mild, G2 group with moderate, and G3 group with severe severities. Then, 32 people with normal hearing wrote down the words that they heard and rated the sentences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Results: For the word identification test, the G1 group had the highest intelligibility and the G3 group the lowest. The results of rating scales showed that, in intelligibility and overall impression, the normal group had the highest score and G3 the lowest. In listening effort and deviation of loudness, the G3 had the highest score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Speech intelligi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im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effort and deviation of loudness.Discussion & Conclusion: Patients with severe voice disorders showed very low intelligibility in spite of their intact articulation and prosody. This result may imply that we should put more treatment efforts in improving the intelligibility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표화명(Hwa Young Pyo),심현섭(Hyun Sub Sim). (2007).음질 저하의 정도에 따른 말명료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 (2), 256-278

MLA

표화명(Hwa Young Pyo),심현섭(Hyun Sub Sim). "음질 저하의 정도에 따른 말명료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2(2007): 256-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