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권 행사와 형사절차상 원칙과의 관계

이용수 823

영문명
KFTC's Investigation Practices and the Principles of Criminal Procedure
발행기관
대검찰청
저자명
강수진(Kang, Soo - Jin)
간행물 정보
『형사법의 신동향』제37호,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공정거래위원회의 행정처분은 형사처벌에 버금가는 위하력을 가지는 반면, 공정거래법위반 사건의 조사 등 법집행에 대한 장애 요소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국가권력과 시민의 방어권 간의 상호충돌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권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규범적 혼란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공정거래법상 조사의 범위와 한계를 형사절차상원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위와 같은 규범적 혼란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공정거래법상 조사는 원칙적으로 간접적 강제력을 수반한 임의조사이다. 공정거래법상 조사에는 출석요구 및 의견청취, 자료제출명령 및 영치, 현장조사, 감정인 지정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현장조사는 사업장에의 출입, 사업장 내 특정장소의 점유, 사업장 내 업무 등 확인을 위한 탐색 등 행위가 수반되기 때문에 헌법상 영장주의와의 관계가 문제될 여지가 가장 큰 조사유형이다. 현장조사 역시 임의조사이므로, 동의의 임의성을 조건으로 영장주의가 배제되는 영역으로 볼 것이나, 동의의 임의성 여부에 관한 판단이 문제될 것이고, 무엇보다 과태료, 더 나아가 형사처벌에 의한 동의의 강제가 적법한지가 문제될 수 있다. 과태료에 의한 강제는 일반적인 행정조사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간접적 강제수단으로서 상당성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으나, 신설된 조사방해죄에 의한 형사처벌 위협은 조사대상자로부터 동의 여부에 관한 선택의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현장에서의 자료나 물건의 수집 역시 강제처분으로서의 수색과의 구별이 어려우므로 수집 대상의 특정, 사전 고지, 무제한적인 대상 확대 및 수색 금지 등 일반적 원칙의 정립이 필요하며, 특히 대량 전자정보에 관한 포괄적 수집은 금지 된다고 볼 것이다. 공정거래법상 조사의 목적은 원칙적으로 행정처분을 목적으로 하나 고발에 의하여 언제든지 형사절차로 이행될 수 있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절차 중 수집한 자료는 언제든지 형사소송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형사상 불리한 진술에 해당하는 경우 진술거부권이 보장될 필요가 있고, 사후 형사소송절차에서 증거로 제출되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증거능력을 갖추었는지에 관한 엄격한 심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s increased number of cases are investigated by Korea Fair Trade Commission(KFTC), huge amount of surcharges and corrective measures are imposed by KFTC which is called “Economic Prosecutors”. On the other hand, more and more obstruction cases are being reported at the center of which lies big companies. Under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most offenses such as cartel conduct could be the subject of both administrative surcharges and criminal fines or imprisonment though KFTC does not have criminal investigation power or power to use coercive measures including warrant. From the investigated companies’ viewpoint, there is no signal whether the investigation aims at administrative surcharges or criminal imprisonment and when the original administrative procedure shifts to the criminal stage. Every evidence collected by KFTC inspectors could be submitted to criminal court. It means that KFTC’s investigating power could be useless as well as borderless. These fators partly explain why there is a confusion on the nature of KFTC’s investigation power and why conflicts between Investigating power and rights to defense grow bigger. In this paper, by looking into both the general nature of investigating power and the specific legal issues raised in the real practise, applying basic principles of Constitution and criminal procedure, I tried to suggest some ideas to solve this ambiguous phase. Investigation methods prescribed under the MPFTA include summoning, ordering to report or submitting information, entering the office or place of business, etc. Failure to meet the proper requests by KFTC without justifiable reasons shall be charged with administrative or criminal fine or imprisonment. The legal nature of KFTC’s investigation power is regarded as voluntary in general with the indirect measures of coercion. But in some areas, whether this voluntary nature is maintained is doubtable. For example, entering the office or place of business accompanies the intrusion of the residence and search of the property, which is approved only under the warrant issued by the competent court unless there is a consent of the owner of promises. So, the voluntariness of the consent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judging the legality of the investigation. In that regards, coercion by criminalizing obstruction of the office inspection, especially criminalizing the act of just objecting or delaying the entrance of inspectors should be reexamined. This obstruction clause results in depriving the citizen of the right to opt for not being investigated, which is contrary to the voluntary nature of KFTC's investigating right.

목차

Ⅰ 서 론
Ⅱ 공정거래법상 조사의 의의 및 구체적 내용
1. 공정거래법상 조사의 의의 및 법적 성격
2. 공정거래법상 조사의 구체적 내용
Ⅲ 유형별 조사권 행사의 한계와 형사절차상 원칙과의 관계
1. 현장조사와 영장주의
2. 자료제출 · 보고 · 출석의무 및 진술청취와 진술거부권
3. 공정거래법상 조사로 취득한 증거의 형사소송절차에서의 사용
Ⅳ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진(Kang, Soo - Jin). (2012).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권 행사와 형사절차상 원칙과의 관계. 형사법의 신동향, (37), 1-38

MLA

강수진(Kang, Soo - Jin).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권 행사와 형사절차상 원칙과의 관계." 형사법의 신동향, .37(2012):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