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이용수 516

영문명
The Present State of Provision System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발행기관
대검찰청
저자명
박찬걸(Park, Chankeol)
간행물 정보
『형사법의 신동향』제44호, 196~227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 제18조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통신의 비밀을 침해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통신의 비밀은 철저히 보호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고, 그 침해는 필요최소한도에 그쳐야 하며 적법절차에 따라 정당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범죄의 수사나 국가의 안보를 위하여 수사기관이 전기통신사업자에게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열람이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그 남용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엄격한 절차를 마련하여 국민의 기본권이 충실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열람이나 제공의 요청을 통신제한조치에 버금갈 정도로 제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는 통신자료 제공제도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기본권의 침해가 심각하다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제한조치와 마찬가지로 법원의 통제를 통하여 동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통신제한조치와 관련된 다수의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에 의하면 2012년 기준 통신제한 조치의 협조건수가 447건임에 비하여,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협조건수는 239,308건으로써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비교가 안 될 만큼의 절대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 운영의 현재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 및 정책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점이라는 시각에 기초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절차 및 기관별, 문서건수 대비 전화번호(또는 ID)건수를 중심으로 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현황을 살펴본 후, 통신사실확인자료에 위치정보를 추가할 것인지의 여부,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사실 통지절차의 개선방안,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요청의 방식, 통신사실확인자료 중 착신통화내역에 대한 제공 등의 논점을 중심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기하면서, 논의를 마무리하기로 한다.

영문 초록

A number of legislative measures are taking place to assure basic human rights including freedom of communication secret and privacy a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ypical among them in connection with data of communication secret are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 provision system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under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 Act and provision system of communication data under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Despite the country's rapid development and shift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re has been neglected management of individual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resulting in people's ever-increased concern with self-determination right of personal information. Compared with provision system of communication data, provision system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can be assessed as seriously infringing on basic human rights and as a result, it has been operated through control of courts like the case of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s and urged to follow a number of regulations related with those restriction measures. According to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as of 2012, there were 239,308 cases of cooperating with provision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while there were only 447 cases of cooperating with communication restriction measures, illustrating incomparable gap between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operation. Given the present operating state of provision system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as such, it is high time for us to discuss its detailed content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erms of policies. Building on this view,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present state of provision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including procedure of provision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number of telephone (or ID) compared with that of document by the organization. Then, a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cused on whether location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improvement measures of notice procedure of provision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methods to request provision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provision of received communication details out of data to prove communication fact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의 주요내용
1.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절차
2.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의 현황
Ⅲ.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의 쟁점별 개선방안
1. 통신사실확인자료에 위치정보를 추가할 것인지의 여부
2.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사실 통지절차의 개선
3.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요청의 방식
4. 통신사실확인자료 중 착신통화내역에 대한 제공
Ⅳ. 글을 마치며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걸(Park, Chankeol). (2014).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형사법의 신동향, (44), 196-227

MLA

박찬걸(Park, Chankeol).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형사법의 신동향, .44(2014): 196-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