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歷史地圖集 의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검토

이용수 185

영문명
An Investigation of Qin′s Great wall stretched to nearby Pyeongyang area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공석구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3輯, 137~1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역사지도집(中國歷史地圖集) 의 한반도관련 지도를 분석하였다. 진(秦)왕조의 동북 방영토는장성(長城)으로그한계를표기하였다. 이장성은평양부근지역까지연결된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장성표기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평양부근까지 연결된 진(秦)나라 장성은 학술적인 측면에서 인정하기 어렵다. 중국역사지도집 에구체적으로제시된진 장성 노선도에문제가있다. 고고학적인조사내 용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압록강을 건너 평양지역 부근까지 연결시킨 진 장성도 이를뒷받침할만한학술적인근거를찾기가어려운것으로나타났다. 중국역사지도집 출간 이후 발견조사된 대령강장성은 중국학계의 관심을끌었다. 근래까지중국학계의연구동향은 대령강장성을 진(秦) 장성(長城) 유지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학계는대령강장성이진(秦) 장성(長城) 관련유적이라고 파악할 만한학술적근거를설득 력있게제시하지못하고있다. 사실, 이장성을조사한북한학계는고려, 고구려시대의유적으 로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더군다나 청천강유역에서부터 대동강유역까지 연장하여 축조하 였다고 표기된 중국역사지도집 의 내용은또 다른장성의 존재를 말하고있다. 하지만 청천 강유역에서 대동강까지 연결되는 또 다른 장성의 존재에 대하여는 고고학적, 문헌적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그렇다면 한반도지역에존재하지도않았던장성을 중국역사지도집 에표기하게된배경 은 무엇일까? 그것은 사료에 나타나는 일부 지명관련 기록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선행(先行) 연구업적을 계승하여, 그 위치를 평양의 대동강 지역에다가 비정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그러다보니 존재하지도 않는 가상의 선을 한반도지역까지 연결하여 표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중국역사지도집 에 제시된 대동강까지 연결된 진 장성의 실체와 이와 같은 중국역사지도집 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이후 중국학자들의 연구내용은 문헌적 인측면, 고고학적인사실관계등을고려해볼때학문적으로 신뢰하기어렵다는결론에이르 게 되었다.

영문 초록

I have made an effort to analyze ancient map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 , in which the northeastern territorial limits of Qin China has been marked with its the Great wall. These walls were indicated to have stretched all the way into regions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rea. This study was therefore conducted to discuss the problems of such long walls declaration. In conclusion, Qin's Great wall connected to the nearby areas of Pyeongyang is academically preposterous. Most of all, hardly any archeological evidences were discover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backgrounds to this false cartographical indication. Such phenomenon was bound to appear due to the arbitrary designation of place names like Lolang county, Susung prefecture, and Galsuk mountain in the Pyeongyang district by the Chinese side. Thus, it is obvious that such Chinese theory is out of the ques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中國歷史地圖集 의 秦 長城과
연구 결과의 확산
Ⅲ.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학술적 근거
Ⅳ. 중국학계의 관련연구 동향
Ⅴ. 中國歷史地圖集 에 나타난 문제점 검토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석구. (2015).中國歷史地圖集 의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검토. 선사와 고대, 43 , 137-168

MLA

공석구. "中國歷史地圖集 의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검토." 선사와 고대, 43.(2015): 137-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