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이용수 475

영문명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대재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3輯,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0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계통상 알타이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로 서로 구별 되었지만, 언어구역상으로는 지리적으로 인접해 상호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해있었다. 고대한국어와중국어사이의접촉에의한언어변화는낙랑군설치이전고조선 시기부터 진행되었는데, 양웅(揚雄)의 방언(方言) 에 의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연(燕)의 동북지역과 조선(朝鮮)·열수(列水, 洌水)지역은 등어선(等語線, isogloss)으로 한 데 묶이는 동일한 언어구역이었다. 기원전 108년 한(漢)의 낙랑군 설치 이전에 고조선 지역에 연(燕)의 동북지역을 과도(過渡)한 상고중국어(上古中國語, 戰國系 方言)가 이미 유입되어 있었다. 부 여(夫餘), 고구려(高句麗), 예(濊), 옥저(沃沮) 등 북방 예맥계(濊貊系) 사회의 언어적 공통성은 공통조어(共通祖語)인 고조선어(古朝鮮語)로부터 분화된 계통적 특징이면서 동시에 이들이 고조선의언어구역에포함되었기때문인것으로이해된다. 위만조선멸망후그유민의남하에의해 고조선어는 삼한지역까지 전파되었는데, 고조선에 유입되어 있던 전국계(戰國系) 방언 이나 고조선의 토착어가 진한(辰韓)의 언어에서 보이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ncient Korean language as the Altaic language family could be distinguished from Chinese as Sino-Tibetian language. Yet, both of them we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same cultural boundary of Chinese characters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closeness. Befor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樂浪郡), the language change by contact between ancient Korean and Chinese had already started at the age of Old Joseon. According to Fangyan(方言) written by Yang xiong(揚雄),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燕), Joseon(朝鮮), and the banks of Lie River(列水, or 洌水) were in the same linguistic area combined by isogloss. Befor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 in 108 B.C., there were already Archaic Chinese(Warring state style dialect) introduced to Old Joseon passing by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shared among the northern Yemaek(濊貊) societies such as Buyeo(夫餘), Goguryeo(高句麗), Ye (濊), Okjeo(沃沮) and others could possibly originate from their parent language, namely Old Joseon’s. The similarities wer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s that once included in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衛滿朝鮮), the drifting people spread Old Joseon’s languag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This phenomenon could be confirmed by the trace of Old Joseon’s and Warring state style dialect in the language of Jinhan(辰韓).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대국어와 上古中國語의 상호관계
Ⅲ. 方言 의 지역구분과 朝鮮
Ⅳ. 三國志 東夷傳의 언어구역과 古朝鮮語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재. (2015).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선사와 고대, 43 , 5-38

MLA

박대재.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선사와 고대, 43.(2015):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