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考古資料를 통해 본 三燕과 高句麗의 문화적 교류

이용수 890

영문명
A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Sanyan and Goguryeo, which is examined thr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조윤재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3輯, 95~13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0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시기(時期) 요녕지역(遼寧地域)에 성립된 삼연(三燕- sanyan)정권 은 4세기 초경에서 5세기 중반까지 중국 중원정권 및 고구려와 그 배경과 계기를 달리하는 교섭관계를 형성하였다. 특히 한반도 서북지역과 중국 하북 지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지리적 특수성으로인해이시기동북아지역의문화적호동작용(互動作用)에중요한역할을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4세기 중엽을 기점으로는 고구려와의 관계가 더욱 돌출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삼연과 고구려의 관계는 상당한 구체성을 띠고 있어 요동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적 배경을 무대로 하는 양자의 교류는 문헌과 물질자료에서 속속 확인되고 있다. 더욱이 이 지역에서 대량의 삼연 고고자료가 출현하면서 “삼연문화”라는 범주적 설정과 이에 관한 연구 성과의 축적이 이루어졌고 이는 고구려고고학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문은 고분문화, 마구, 보요장식, 토기, 대금구(버클) 등에서 보이는 양자의 문화적유사성을적출하여이를통해인식할수있는개별유적및기물자체의형성, 수용배경, 유입과정 및 제작기술상의 계보 등이 연동되어 있는 상호영향을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he Sanyan government coming into existence in Liaoning province in Wuhu Shiliuguo period built a relationship of which the background and occasion differed from that of central China government and Goguryeo from the early 4th century to the mid-5th century. In particular, due to geographical peculiarity of being located between the northwest of Korean peninsular and Hebei province of China, Sany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 interaction in Northeast Asia in that period. In particular, after the mid-4th century, a relationship with Goguryeo was more prominent. Accordingly, it attracts attention. As is generally known, a relationship between Sanyan and Goguryeo was fairly specific. Therefore, interchanges between two sides with spatial background around Yodong as their stages are successively verified by literature and material data. Moreover, as a large quantity of archaeological materials of Sanyan appeared in the region, a category of “Sanyan culture” was set up, and achievements in research on that were accumulated, which became a trigger for setting a new direction in archaeological research on Goguryeo. The body paragraph extracted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two sides, which were shown in tomb culture, harness, pendant ornament, pottery, buckle, and the like, and then examined interactivities where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ite and utensil itself, acceptance background, influx process, manufacturing technology tradition, and the like were linked, which could be recognized through the cultural similar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언
Ⅱ. 三燕文化의 定意와 形成
Ⅲ. 三燕考古學文化의 성격
Ⅳ. 고고자료를 통해 본 三燕과 고구려의 관계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재. (2015).考古資料를 통해 본 三燕과 高句麗의 문화적 교류. 선사와 고대, 43 , 95-136

MLA

조윤재. "考古資料를 통해 본 三燕과 高句麗의 문화적 교류." 선사와 고대, 43.(2015): 9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