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졸취업 확대 정책 전후 고졸취업자 일자리의 질 비교 분석

이용수 1405

영문명
Examining job qualities of graduate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fter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promotion policy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이필남(Yi Pil nam)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3권 제4호, 49~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1년 하반기 이후 실시된 정부의 고졸취업 확대정책 이후 고졸 취업자의 일자리의 질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관찰하고, 2013년 마이스터고졸 취업자의 일자리 질이 특성화고졸 취업자보다 얼마나 우수한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11년 고졸자 취업진로조사와 2013년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 고졸취업자는 2011년 고졸취업자에 비하여 일자리 만족도가 5점 만점 척도에서 0.08점 높았고,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시간당 실질임금도 약 10% 높았다. 그러나 300인 이상 기업 또는 공공기관 상용직으로 정의된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확률은 오히려 2013년 고졸취업자가 2011년 고졸취업자보다 낮았다. 둘째, 2013년 마이스터고졸 취업자는 특성화고졸 취업자에 비하여 임금과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자리 만족도는 마이스터고졸 취업자가 높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로그임금의 경우 마이스터고졸 취업자는 특성화고졸 취업자보다 약 1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확률은 마이스터고졸 취업자가 특성화고졸 취업자보다 승산비가 0.07의 차이가 나게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고졸취업 확대 정책 이후 고졸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와 임금으로 측정된 일자리 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이스터고졸 취업자의 임금과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확률도 특성화고졸 취업자보다 높게 나타나서 마이스터고 효과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고졸취업 확대 정책이 취업의 질 차원에서도 성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향후 고졸취업자의 취업유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횡단조사가 아닌 종단조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job qualities of graduate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fter the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promotion policy using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Survey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2011 and 2013 respectively. The measures of job qualities include job satisfaction, log hourly wage,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as a full-time worker by firms with 300 or more employees and public institutions(i.e. a decent job).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2013 who are paid workers had a 0.08 point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2011. Also, the former earned about 10% higher hourly wage than the latter. However, the former had a lower chance of being employed as a full-time worker by firms with 300 or more employees and public institutions than the latter. Second,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2013, paid workers who graduated from meister schools earned a higher hourly wage than paid workers who graduated from general vocational high schools. Also, paid workers who are meister school graduates had a higher chance of getting a decent job. Job satisfaction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paid workers from meister schools and those from general vocational high school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promotion policy was effective in enhancing job qualities measured by job satisfaction and hourly wages. The meister school policy also seems effective in terms of qualities of graduates' labor market outcomes. The study suggests a longitudinal survey of high school graduates is needed to observe a long-term causal effect of the policies on their labor market outcom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필남(Yi Pil nam). (2014).고졸취업 확대 정책 전후 고졸취업자 일자리의 질 비교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 (4), 49-74

MLA

이필남(Yi Pil nam). "고졸취업 확대 정책 전후 고졸취업자 일자리의 질 비교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4(2014): 4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